대형유통업체들이 지역에 얼마만큼 환원하는지를 두고 항상 말들이 많았다.

그런데 최근 전주권 대형유통업체 대부분이 말로만 지역 상생을 외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의 보도가 나왔다.

상생협약의 취지가 무색할 정도로 지역 환원에 인색한 데다 도내에서 생산된 상품 매입과 인력 등을 은근슬쩍 축소해 나가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는 전주시 유통상생발전협의회가 지난해 4/4분기 ‘대형유통업체 상생협약이행’을 분석한 결과에서 드러났다.

조사에 따르면 전주시 대형유통업체 11곳의 지역환원금액은 겨우 1억2천846만원으로 총매출액(2천118억7천만 원)의 0.06%에 불과했다는 것. 업체별로는 이마트가 그나마 0.195%로 매출액 대비 지역환원금액 비율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롯데마트 송천점(0.162%), 나머지는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로 나타났다.

세이브존은 아예 환원비율이 0%로 지역 기여도가 전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한다.

2012년 3분기 이전에는 롯데백화점이나 홈플러스 효자점, 세이브존, GS슈퍼, 롯데슈퍼는 포함되지 않았음에도 지역환원율이 소수점 첫째 자리였지만 2012년 이후부터는 소수점 둘째 자리로 내려앉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어 2013년 0.04%, 2014년 0.03%, 2015년 0.038%, 2016년 0.044%로 상생협약의 취지가 무색한 실정이다.

고용현황에서도 세이브존의 도내인력 고용률(85.04%)만 유일하게 80%대로 파악됐다.

반면 홈플러스 전주점은 총 직원 436명이 도내 인력이었다.

그러나 업체 대부분 직영인력이나 협력인원을 줄이는 대신 임시인력을 늘리고 있어 일자리의 질적 하락을 불러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4분기 11개 유통업체의 매출액 대비 전북산품 매입액 비율은 평균 74.25%로 지난 분기보다 30.03%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상생발전협의회가 권고하고 있는 200% 수준에 달하는 유통업체는 농협농산물유통센터(258.80%)와 홈플러스 전주점(256.51%) 밖에 없었다.

롯데마트 송천점은 한 자릿수에 불과했으며, 전주점은 1% 미만이었다.

도내산 제품을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정도다.

이 같은 데이터는 대형유통업체가 지역 상권을 무너뜨리면서 지역 환원에는 인색한 반면, 자기 주머니만 채우고 있다는 비난을 자초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의 감시 기능이 시들해지지 않았는지 우리 역시 스스로 자문해 볼 문제다.

지금이라도 후퇴하고 있는 지역기여도를 높이는 대책은 물론 지역과 상생할 수 있도록 행정의 지도감독, 그리고 민간차원의 감시 기능 또한 강화 시켜 나가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