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단위 지역에서의 서비스를 동등하게 받을 권리가 전북에도 있다.

왜 매번 전북을 벗어나 인근 타 도로 이동해 서비스를 받아야하는가? 전북에서 살아간다는 이유만으로 과연 이러한 피해를 언제까지 감내해야만 하는 것인가? ‘호남본부’에 들씌워진 전북인의 멍애를 정부와 대기업은 알고 있는 것인가? 최근 전북혁신도시가 지역발전의 기폭제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호남본부’로 되어있는 공공·특별기관을 전북과 광주·전남 본부로 분리해 제 몫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북소재 기관들의 본부설치는 도민들에게 광주·전남과 같은 도 단위 지역에서의 서비스를 동등하게 받을 권리를 제공하는 동시에 지역발전을 앞당길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게 그 이유다.

전북혁신도시의 현재 인구는 이전기관 임직원들과 원주민 등으로 2만5천명을 넘지 않는 수준. 그러나 호남권으로 되어 있는 특별행정기관을 전북권과 광주·전남권으로 분리해 전북혁신도시에 별도의 전북본부를 설치할 경우 정주인구 10만 명 이상의 자족도시로 발돋움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고 한다.

실제 공공기관 대부분이 광주 일원에 집적화되어 있는 상황. 호남권을 관할하는 공공기관은 49개. 하지만 이 가운데 92%는 광주 전남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사법기관은 물론 국세와 보훈관서, 심지어 노동과 기상관서까지 상급기관은 죄다 광주쪽에 몰렸다.

이중 중앙부처 소속인 특별지방행정기관은 16개 중 81%가 광주전남에 집적화됐다.

광주고법과 광주고검, 광주노동청과 광주보훈청, 광주국세청가 광주세관 등이다.

준 정부기관과 공기업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전체 33개 중 97%(32개)가 광주 쪽에만 집중화될 정도다.

산업인력공단과 교통안전공단, 철도시설공단과 석유공사 등이다.

일상과 밀접한 소비자원과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등도 마찬가지다.

반대로 도내의 경우 통틀어봐야 단 4개뿐이다.

익산 국토관리청, 군산 농림축산검역본부, 남원 서부지방산림청, 김제 석탄공사가 전부다.

이 가운데 도청 소재지인 전주는 한 곳도 없다.

정부가 공공·특별행정기관을 배치하면서 전북은 생활권이나 경제권이 완전히 다른 광주.전남과 묶여 호남권으로 분류, 대부분 기관이 광주지역에 몰려있게 된 것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이들 공공.특별기관을 이용해야 하는 도민들은 시간과 경제적 불편이 동반돼 왔던 게 사실.

구구절절 말하지 않아도 이제는 공공·특행기관 호남권 본부를 분리해 별도의 전북본부를 설치해야 한다는 주장은 시대적 요구이자 국가의 균등한 발전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사안인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