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주택건설사는 꾸준히 증가하고 아파트 인허가도 늘어나는 반면, 지역 업체들의 수익과 실적은 오히려 악화됐다는 소식이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에 등록된 주택건설사는 모두 7천236곳, 이는 지난 2008년 6천171곳에 비해 무려 117.3%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전북은 120곳에서 246곳으로 205.0% 늘어 전국에서 4번째로 많은 증가율을 보였다.

문제는 주택건설업체 숫자만 늘어났을 뿐 지역 업체들의 수익과 실적은 오히려 악화됐다는 데 있다.

지난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신규 인허가를 받은 아파트는 10만5천465세대로 지난해 말 기준 32.3%에 달한다.

역시 문제는 도내 건설업체의 아파트는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 지난 1995년 아파트와 다세대 주택 등 도내 주택건설 실적 2만7천598세대 가운데 지역 업체는 35%인 9천869세대를 짓는 등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특히 주택건설 호황기였던 1997년에는 2만6천194세대 가운데 절반인 1만3천338세대를 도내 주택건설업체가 맡았다.

그러나 2006년 도내 주택건설 실적 1만5천200세대 가운데 3%인 535세대에 불과했다.

이후 대부분 10%대의 점유율을 보였으나 대형 아파트 단지 건설에는 참여하지 못하고 외지업체들에게 잔칫상을 넘겨줬다.

올해 도내 주택건설업체 사업 계획을 보면 아파트 건설 계획 16곳 중 7곳에 불과했다.

이마저도 500세대 이상 아파트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곳은 2곳 뿐. 나머지 100세대를 간신히 넘는 곳도 손에 꼽을 정도였고 규모가 있는 아파트는 타 지역 사업이다.

자본력 경쟁에 밀려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전주 효천지구의 택지 등 소위 목 좋은 부지를 확보하지 못하고 다시 규모가 축소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주택건설업계는 이런 악순환을 끊기 위해 대규모 택지 분양 방식을 변경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도내 업체에 일정 부지를 분양하던 방식에서 ‘최고가 입찰’로 바뀌면서 자본 경쟁력이 없는 지역 업체 소외현상이 반복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전 택지 개발 규모의 몇 배가 넘는 대규모 택지 개발로 분양부지 면적도 이에 비례해 늘어나면서 지역 업체들의 몰락을 부추이고 있다는 것. 결국 지역 업체들이 참여가 줄어드는 것은 자본의 역외유출과 지역경제 붕괴 등 다양한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다.

최소한 자본력이 약한 지역 업체들이 참여 할 수 있도록 택지 분양 면적을 줄이는 분할 매각 등 일정 면적을 의무적으로 지역 업체에 분양하도록 강제하는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하지 않나 싶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