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정부 출범이 임박한 가운데 전북 출신 인사들의 청와대 입성 여부와 그 규모가 어느 정도일지가 주목된다는 기사다.

주요 대선 후보들이 당선되면 정부부처의 역량을 강화하고 청와대 역할은 축소시키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지만, 여전히 차기 정권의 최고 핵심부는 청와대일 수밖에 없다.

그동안 전북은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절, 범전북 출신 인사 상당수가 포진된 바 있다.

수석비서관은 물론 실질적 업무를 관장하는 행정관 등 상당수 인사가 전북 출신으로 채워진 바 있다.

유종근 대통령 경제고문과 작고한 강봉균 수석 등이 청와대 주요 회의를 주도한 바 있다.

내각 구성에 있어서도 통일부장관, 산업자원부장관에 당시 정동영, 정세균 의원이 올랐고, 국회의장에는 당시 김원기 의원이 활동하는 등 ‘전북 정치 르네상스’ 시대를 구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선 전북 출신이 많지 않았다.

대통령을 배출할 당시 해당 정당의 전북 지지율이 낮았고 실제 득표율도 10% 대로 높지 않았다.

전북이 보수정당에게는 불모지로 꼽힐 만큼, 정치적 위상도 낮았기 때문이라는 평가다.

중앙당에도 전북 출신 인맥이 거의 없었다.

이명박 정부에선 범전북 출신 중에서 김백준 총무비서관(익산) 등이 명맥을 있긴 했지만 실질적으로 정부를 움직이는 위치는 아니었다는 평이 많다.

박근혜 정부에선 김관진 안보실장이 그리고 실무선에선 이재성 행정관이 주요 역할을 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는 김대중-노무현 정부와 비교할 때 전북 출신 인맥은 크게 약화됐다.

민주당과 국민의당이 호남을 중심으로 하는 정당이라는 점에서 만일 두 정당 후보 중에서 당선자가 나오면 전북 출신의 청와대 대거 포진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특히 기대가 되는 부분은 청와대 수석과 실무진에 전북 출신의 입성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수석급은 대선 후보 측근 인사가 포진하는데 민주당 문재인,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측근에 전북 인사가 많다.

이들 중에서도 현역 국회의원과 원외 위원장을 포함한 정치인들, 그리고 행정부 근무 경력이 있는 인사가 유리하다.

또 관례를 보면, 실질적 국정 업무를 담당하는 행정관 급에 있어선 국회의원 보좌진을 포함한 실무선이 대거 들어가게 된다.

민주당과 국민의당 후보 중 누가되던 범전북 출신 현역 의원들과 보좌진들의 입성이 이루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이들은 중앙과 전북의 가교역할을 할 중요한 인자들이다.

그런 만큼 청와대 입성 예정 인사들이 차기 정부에서 전북 발전의 획기적 전기를 마련할 수 있는 요소들로 포진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