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원호 건축사 황실문화재단 전주시지회장

지난 5월23일에서 27일까지 캄보디아에 다녀왔다.

 전주안디옥교회에서 캄보디아로 의료선교와 이.미용봉사를 위해  5박6일 동안  뜨거운 열대아 속에서 땀을 빼고 왔었다.

4년전부터 캄보디아 농촌에 교회를 세우고  의료진료 봉사 행사를 가져 왔었다.

 2017년 금년에도 첫날 캄보디아 뿌로호우 초등학교에서 의료 진료와 워쉽 공연, 그리고 학생들의 줄 달리기와  릴레이를 곁들여 어린학생들과 어른들의 웃음꽃을 피우게 하였고, 둘째날에는 쌈브람바이에서 전날과 동일한 행사를 가졌다.

삼일째에는 언동땝 학교에서 의료팀의 주민들 진료와 워쉽공연을 가졌고, 도시락과 선물(의류, 자전거, 핸드폰, 등등)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몇일간 사회봉사활동을 하고 왔다.

   캄보디아 나라는 운송수단이 오토바이와 소형트럭 그리고 승용차 밖에 없고, 도로포장이나 교량시설이 열악하여 버스 이동이 어려웠다.

우리일행이 이동할 때도 도로사정이 안 좋아 애를 먹기도 하였다.

 이러한 행사를 하면서 쌀이 남아도는 이곳 캄보디아에 빈곤 퇴치용 쌀을 보냈다는 소식을 접하고, 그렇게도 쌀을 보낼 곳이 없는가 하고 생각해 보았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농림축산 식품부가 “아세안 + 한. 중. 일 3개국 비상쌀  비축제(APTERR)위원회” 에서 한국 쌀 750t 원조를 2016년 4월 11일 최종 승인하여 7월 국회비준을 완료한 뒤 회원국으로 본격 활동을 하면서 캄보디아에 250t 을 지원하였다는 것이다.

APTERR는 한국, 중국, 일본과 아세안 10개국이 식량 위기 등 비상시 공동대응을 위하여 지난 2013년 3월에 설립한 “쌀, 국제공공 비축제도”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10월  APTERR사무국에 2017년도 무상원조 사업에 공여국으로의 참여를 희망했으며, 미얀마와 캄보디아에 각각 500t, 250t을 지원키로 확정되었다는 소식이다.

  공여물량은  캄보디아 등 현지에 1년간 보관될 예정이며, 보관 기간 중 비상상황 발생시 이재민에 재해 구호용으로 보내지거나 1년 후 빈곤 퇴치용으로 지원될 예정이란다.

  한국전쟁 당시에는 캄보디아에서 식량 원조를 받았던 처지에서 다시 쌀을 보내게 되었다는 점에서  감개무량한 소식이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캄보디아는 폴포트 정전하에서 수백만 명이 희생되었고, 동남아 최빈국 중 하나이지만, 이 나라는 매년 이모작으로 쌀이 남아도는 나라가 되었다.

 캄보디아 곡물협회가 2016년 발표한 기록에 따르면  해마다 남아도는 쌀이 연간 300만 톤이 넘는다고 되어 있다.

 매년 홍수나 가뭄을 겪고 있는 나라이지만, 이처럼 쌀이 남아도는 나라에 쌀 원조하는 정부의 결정이 과연 현명한 것인지 고개가 갸우뚱해진다.

   남아도는 쌀 때문에 행복한 고민을 하는 나라는 우리와 다를 바 없지만, 열악한 환경에서 남아도는 쌀을 보관할 창고마저 부족해 골머리를 앓고 있는  나라가 캄보디아 이다.

   지금 캄보디아는 현실적으로 당장 필요한 것은 쌀 같은 구호식량이 아닌 홍수나 가뭄 등 재난이 발생한 지역에 제때 구호용 식량을 보낼수 있는 트럭이나 운송수단과 장비가 필요한 나라이다.

 특히 이곳은 도로상황이 열악하고 주변 환경이 불편하여 도로포장이나 교량건설 등 사회간접시설이 절실히 필요한 나라이다.

  한국 쌀은 우리입맛에는 맞지만, 동남아 국민들에게는 소화조차 힘든 곡물이다.

가늘고 긴 알랑미 쌀을 재배하지만, 우리의 쌀과는 확연히 다르다.

그동안 전례로 봤을 때 캄보디아 정부가 한국 쌀을 냉큼 받기로 한 것은 국가간 협력차원으로 보아야 하겠지만, 한국의 원조쌀과 현지쌀과 뒤섞여 창고에 수년간 방치될 가능성이 높고, 오래되면 가축먹이로 전락하거나 일부 부패한 현지 공무원들의 손에 들어가 시중에 헐값으로 밀거래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몇년 더 보존 하려면  2차 가공(분말)이 필요한대  이 나라에는 그만한 기술력이나 가공생산시설도 없다고 한다.

따라서 원조 프로그램의 목적과 취지를 이해를 하나, 차라리 이럴바에는 식량이 부족하여 전제국민의 24%가 기아에 허덕이는 아프리카 등 다른 제3세계 국가(사하라 남부 아프리카)에 보내는 게 더 큰 의미가 되지 않을까 싶다, 이러한 점을 문재인정부에서는 다시 한 번 재고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