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노인일자리 미스매칭이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소수의 일자리조차 단순노동이나 농어업에 집중되면서 중소득·중기술 이상의 일자리발굴이 시급하다는 소식이다.

전북도 노인일자리센터는 최근 고령자 고용지원 정책 및 일자리 개발에 대한 심층연구를 통해 ‘전북형 고령자 고용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도내 60세 이상 구인배율은 0.077로 전 연령(19세 이하 제외)을 통틀어 가장 심각했다.

그 외 연령별 구인배율은 20~29세 0.426과 30~39세 0.661, 40~49세 0.299, 50~59세 0.119를 기록했다.

구인배율은 구인에 대한 구직비율로 1명당 구인 수를 의미한다.

구인배율이 1보다 작으면 일자리를 찾는 사람에 비해 일자리가 적다는 의미다.

그만큼 전 연령을 통틀어 도내 노인일자리와 관련한 미스매칭이 가장 심각하다는 것이다.

특히 도내 민간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조사과정에서 노인일자리의 취약함이 여실히 노출됐다.

도내 14개 시군에 분포한 446개 사업장의 평균 60세 이상 근로자 수는 6.33명으로 파악됐다.

1명을 채용하고 있다는 사업장이 26%로 가장 많았고, 60세 이상 근로자 중 4대 보험가입은 297명(66.6%), 미가입은130명(29.1%), 무응답 19명(4.3%)으로 나타났다.

반면, 60세 미만 근로자는 365명(81.8%)가 4대 보험을 가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고령 근로자들이 얼마나 취약한 환경에 놓여있는 지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현실적 데이터가 되고 있다.

근본적인 문제 해결로 가구 형태를 다시 바로 잡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이제는 1인 가구에 맞춘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60대 이상의 구인 배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고령자를 위한 일자리 개발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노인일자리 확대를 위해 영세 민간사업장의 고령 근로자 채용 및 지원방아니 마련되고, 지역 밀착형 고령자 구인구직 DB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외 사업장 구인 정보 조사, 고령자 지원 정책 등 홍보강화, 취업 사례관리 시스템 도입, 고령자 고용지원 업무 담당인력 확대 및 역량 강화, 대학 연계를 통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이 필요해 보인다.

무엇보다도 노인에 대한 취업 서비스가 실적 결과물의 성과주의에 치중하는 것보다 수요자의 욕구에 맞게 전환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특히 갈수록 급중하는 가구 분화에 맞춰 중장기 대책은 물론 지역별, 가구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대책들이 서둘러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