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석규 전북대학교 교수

지난 총선이나 19대 대통령 선거기간 동안 선거에 의해 선출되는 정치가와 투표자들이 갖는 모든 정치생활은 어떤 형태로든지 언론활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실감했다.

언론이 신문·방송·민간소문·여타 미디어 매체 등에 의해 살아 움직이며 정치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어 왔던 것이다.

그 관계의 원천을 세 가지로 요약해보면, 첫째로 민주주의 정치는 시민참여가 핵심이기 때문에 언론이 시민의 관심·욕망·요구가 통치자 집단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중요 수단이 되고 있다는 데에 있다.

두 번째로 정권의 최고권위를 정당화 하려면 그 정권의 가치 및 절차상 규범을 상징하는 표현이 필요하고 그 정권의 정부행위는 좋은 평판을 폭넓게 받아야 하기 때문에 정치행위는 언론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는 데에 있다.

세 번째로 정치가가 ‘시민의 삶을 위한 정책선택’을 하려면 그 정책선택을 명쾌하도록 하는 관련 정보흐름을 정책결정관계자들과 정책수혜자들에게 유포시켜야 하므로 언론과 밀접하게 연관될 수밖에 없다는 데에 있다.

대중언론매체들과 정치가집단의 밀접한 관계가 정치언론 내용 흐름에 그리고 청중의 정치견해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까?

대중언론매체들과 정치가집단의 관계가 정치행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쳐왔다는 것에 대해서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다른 의견이 없다.

대중매체가 사회제도 및 정치에 관한 정치토론의제 및 토론장을 마련하여 전파함으로써 잠재적으로 독립적인 정치기반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대중언론매체들은 필요한 후원을 확보하려는 정부 및 정치가들의 승패에 영향을 미쳐 왔다고 말해도 큰 오류는 없다.

때로는 편파적인 정치토론의제를 선택하고 편협한 의견을 피력하면서 투표자들이 선택하게 될 의견들을 조성하는 경우도 있다.

이렇기 때문에 정치가집단은 대중언론매체들이 정치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들을 단속·통제해 왔다.

심지어 자유 존중의 전통에 뿌리를 둔 정권조차도 보도행위의 적정성을 감시할 필요성과 확인된 보도행위의 하자에 대하여 시정을 권고할 필요성을 알고 관련 조치를 해왔다.

이 때문에 대중언론매체의 산물로서 조정되지 않은 글이나 영상 또는 방송이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물론 대중언론매체들은 정치사회로부터 자유로울 수도 있겠지만 종속적일 때도 있었다.

다시 말해 정치뉴스가 자율적인 대중언론매체들에 의해 시작되거나 중개되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이면에는 새롭게 부상하거나 지지하고 싶은 정치세력집단의 정치명령에 추종하는 수동적인 역할을 보여주는 경우도 있었다.

문제는 대중언론매체가 조정되느냐의 여부가 아니라 누가 대중언론매체를 조정하느냐에 있다.

‘정의를 저버린 집단 이기주의를 앞세워 선량한 인재를 저버리는 투표를 하는 행위를 비판하고 시민의 삶을 바로 세워 주어야 하겠다는 철학’이 그 조정자가 되어주는 세상이 오길 바란다.

그리고 신문·방송·민간소문으로 이뤄지는 대중언론매체들이 정치적 특성 및 특정 권력에 대한 의존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인정하더라도 그 의존성을 ‘시민의 삶을 바로 세우는 정치를 위한 올바른 뉴스를 전달하는 중립적 입장’에서 찾아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