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쿤취, 몽골 모링흐르등 색다른 전통문화 공연 선봬 8월 4일~5일 무형유산원

▲ 몽골 모링흐르
▲ 일본 구미오도리
▲ 중국 악극 쿤취

중국, 몽골, 일본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이 전주를 찾는다.

국립무형유산원이 마련한 ‘삼국삼색, 아시아의 풍류가 펼쳐지다’에서는 중국과 몽골, 일본 등 아시아를 대표하는 무형유산 전승자들이 직접 전주를 찾아 8월 4일과 5일 이틀 동안 고유의 전통문화를 선보이게 된다.

첫 날인 4일은 중국의 전통음악이 선보인다.

3,000년 역사를 자랑하며 10가지 방법으로 4옥타브를 내는 중국의 대표적 현악기 구친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또 느리고 간결하면서도 우아한 곡조를 자랑하는 동샤오와 비파 그리고 관현악기와 타악기로 연주하는 난인이 그 뒤를 잇는다.

난인은 중국 남동부 푸젠성 민난 지역 사람들과 해외로 떠난 민난인들의 문화를 담은 음악예술로 알려져 있다.

또 중국 쑤저우 지역 쿤산시에서 발달한 악극 쿤취도 만날 수 있다.

현존하는 중국 전통 악극 중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쿤취는 이번 공연에서 대표작 ‘모란정’을 선보인다.

배역을 맡은 이공률과 장지홍은 쿤취 국가 1급 배우로 중국에서도 뛰어난 연기력을 인정받고 있다.

둘째 날인 5일은 몽골과 일본 전통공연이 펼쳐진다.

먼저 오후 2시에는 몽골 공연으로 한 사람이 두 가지 이상의 음을 내 다양한 화음을 만드는 몽골족의 가창예술 후미와 중국과 공동 등재된 오르팅도 전통민요 장가를 선보인다.

후미는 몽골만의 독특한 가창예술로 배음이 특징이며, 장가는 풍부한 장식음과 가성, 폭넓은 음역을 보여준다.

또 유목문화에서 탄생한 독특한 악기인 모링 호르로 연주하는 전통음악이 그 뒤를 잇는다.

머리에 말머리 조각장식이 특징인 모링 호르는 초원에서 부는 바람 소리처럼 들린다 해 초원의 첼로로 불린다.

연주는 몽골 민족무용의 원형으로 간주되는 비일게 형식으로 표현된다.

비일게는 유목민의 생활방식을 표현한 예술로 보통 이동식 천막집인 게르의 좁은 공간에 반쯤 앉거나 책상다리를 한 채 공연하는 게 특징이다.

이번 공연은 몽골 국가지정 인민배우 체. 체렌더르쯔(Ц. Цэрэндорж)를 비롯해 몽골 무형유산의 대표적인 전승자들이 다수 참여한다.

오후 7시부터는 일본 오키나와 제도에서 연행되는 공연예술 구미오도리(組踊)가 열린다.

지역의 전통 음악과 춤을 바탕으로, 노가쿠나 가부키 같은 일본 본토 전통공연뿐 아니라 중국의 여러 전통극 요소까지 통합발전 해 온 예술이다.

이번 공연에서는 구미오도리의 대표 공연 프로그램인 18세기 류큐 왕국의 연회감독인 다마구스쿠 초쿤이 창작한 슈신카네이리를 만나볼 수 있다.

한국 최초로 일본 국립극장 오키나와가 참여하는 이번 공연에는 일본의 인간국보인 니시에 키슌이 출연해 구미오도리의 진수를 감상할 수 있다.

또한, 공연 시작 전에 호서대학교 박은옥 교수(중국), 영남대학교 박소현 교수(몽골), 숙명여자대학교 이지선 교수(일본)가 초청 종목의 다양한 이야기와 정보를 자세히 들려준다.

해설은 중국과 일본 공연은 시작 2시간 전, 몽골 공연은 시작 1시간 전에 진행된다.

유산원 관계자는 “다양한 전통문화간 교류를 통해 국내 뿐 아니라 외국의 무형유산에도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다”며 “이번 공연을 통해 우리 전통문화를 더욱 활발하게 계승발전하는 자극제가 되고, 앞으로도 초청공연을 꾸준히 지원할 방침이다”고 밝혔다.

한편, 유산원을 제4회 국제무형유산영상축제 국제 경쟁부문 본선 진출작 9편을 발표했다.

올해 처음 도입된 이번 공모는 총 1,048편이 출품됐고, 선정된 본선 진출작은 축제 기간 심사를 거쳐 최우수작품상 1,000만원, 우수작품상 500만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본선 진출작은 한국 장윤정 감독의 ‘꼭두’를 비롯해 일본을 제외하곤 모두 유럽에서 제작된 작품들로 구성됐다.

/조석창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