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야 새야 파랑새야/ 녹두 밭에 앉지 마라/ 녹두꽃이 떨어지면/ 청포 장수 울고 간다'

부패한 나라를 바로세우고, 더 나은 삶을 꿈꾸던 근대(近代) 핵심 농민운동이 일어난 동학의 고장 전라북도에서 친환경 농업의 진정한 의미를 되찾고, 다시 전국적 운동으로 부흥시키는 바람이 불 수 있을까?대통령이 바뀌니 나라가 바뀐 것 같다는 말을 심심치 않게 듣는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많은 곳이 ‘사드’로 도배되고 있지만 농업과 우리 국민이 관련된 가장 큰 이슈는 단연, ‘먹거리와 환경’ 이다.

이에 정부는 국민 생활 안전을 위해 ‘탈원전’을 추진하고, 이를 실현 할 친환경에너지 이용확대와 각종 혜택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국민 먹거리 안전을 위해서 ‘생태농업’ 확대를 주요공약으로 내걸었으며, 지속적인 먹거리 생산-공급체계인 ‘푸드 플랜’ 수립을 최우선 과제로 꼽고 있다.

 ‘친환경적인 생태환경을 조성하는 것,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농업을 실현하는 것’, 이 두 가지 모두를 실천할 수 있는 ‘행위’가 무엇일까? 바로 친환경농업이다.

2000년대 후반부터 좋은 먹거리에 대한 인식과 요구가 높아지면서 친환경농업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였다.

일부 ‘깨인 소비자 또는 아픈 소비자’를 위한 시장으로 인식되던 친환경 농산물은 이제 자연드림, 생협, 홀푸드, 학교급식 등의 다양한 온․오프라인 경로를 통해 어느새 우리 생활 속으로 깊게 들어오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의 친환경농업은 1970년대에 많은 농약과 비료를 사용한 식량증산정책이 전국적으로 추진되던 시기에 일부 농민들이 협력과 자율적인 학습을 통해 자연과 환경을 보존하는 농업을 수행하겠다는 인식과 신념을 바탕으로 유기 농업을 실천한데서 시작되었다.

현재까지 농업인들이 유기농업을 지속할 수 있었던 것은 경제적 이익보다는 농업을 통한 환경보존이 우리 국토, 우리 국민, 궁극적으로 우리 농촌과 농민이 살 수 있는 터전을 만든다는 철학적 인식에 따른 것이었다.

하지만 최근 3년간 친환경농업 성장이 주춤하였고, 저농약 인증 취소는 친환경농업의 규모를 줄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에 전라북도는 민선6기 농정 목표를 ‘전통농업의 회복과 삼락농정’으로 삼아 친환경농업의 과제 진단 및 농업기반을 내실화하고 ‘보람찾는 농민’, ‘제값받는 농업’. ‘사람찾는 농촌’을 통해 농민이 행복한 농정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책적으로도 고투입 관행농업의 환경오염 증대와 각종 폐해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그러한 폐해를 줄일 수 있는 농업, 곧 친환경농업으로의 전환을 유도하여 환경복원 및 유지 등을 통해 안전식품이 생산되는 방향으로 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

농식품부가 2015년에 발표한 제4차 친환경농업육성 5개년 계획(’16년~’20년)에는 친환경농업환경 보전 강화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친환경농업의 근본이 되는 토지를 건강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유기농 자재의 안정적인 공급을 확대시키고 이를 지속해나가야 한다.

또한 이전부터 시행해 온 유통체계 확립을 강화하여 친환경농산물 시장을 넓히고 소비자의 인식전환을 꾀할 수 있는 다각적인 노력도 필요하다.

 전북농정도 토양·수질 등 농업환경 보전 및 개선에 힘써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농업환경에 대한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그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농민들은 안전한 식품과 환경자원을 동시에 생산하고 소비자는 안전하고 건강한 삶이 지속되는 소비활동이 선순환 되는 것에 목표를 두어야 한다.

이를 통해 다음세대의 소중한 농업유산을 지켜나가야 할 것이다.

1894년 핍박 받는 국민을 위해 우리고장에서 시작된 동학농민운동이 그러했듯이, 2017년 무차별 다국적 먹거리, GMO, 환경호르몬, 미세먼지 등 불안전한 먹거리와 환경으로 고통 받는 국민을 지키기 위한 친환경 농민운동이 전라북도로부터 다시 시작되기를 필자는 바래본다.

/전라북도 친환경농업인연합회 전호봉 회장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