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문화관광재단이 제대로 운영되고 있지 않다는 본보 지적의 기사가 떴다.

설립 1년 반이 넘도록 자체 사업보다는 상당부분 전북도가 추진해 오는 사업들을 이관하는 수준에 머무르며 설립 취지를 무색케 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북문화관광재단은 사실 민선 6기 송하진 도지사 취임 후 문화예술뿐 아니라 관광까지 아우르겠다며 지난해 1월 문화·예술 관광을 실현하기 위해 출범했었다.

송 지사는 도정 역점과제 중 하나인 ‘토탈관광’을 내세우며 도내 관광산업의 컨트롤타워의 선도적 역할을 맡기겠다고 밝히기까지 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재단이 관광과 관련된 역할을 기초적인 수준 밖에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실제로 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관광사업은 문화예술사업과 비교해 형편없이 적었다.

전체 44개 사업 중 자체 사업은 12개뿐이고 나머지 32개 사업은 도 이관 사업이다.

이 사업 중 문화관광 분야는 단 9개로 전체의 20.9%에 불과하다.

12개 사업 중 문화관광분야는 단 9개로 전체에 20.9%에 불과하다.

문화예술 분야와 비교하면 월등히 적은 수치다.

소수사업조차도 논란을 사고 있다.

일부 ‘문화여권사업’사업을 제외하면 도에서 추진하는 사업을 가져오는 수준정도 밖에 없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재단이 관광이라는 명패를 달기 위해 경험과 노하우가 축적된 기존 도의 민간위탁기관들이 수행하던 사업을 사실상 뺏어오고 있다고까지 비난하고 있다.

도가 추진하는 사업들이 재단에 이전되면서 기존 사업을 담당하는 민간위탁기관들과의 잡음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재단이 독창성과 창의성, 적극성 등을 갖고 새로운 사업을 발굴하거나, 유치해야 하나 기존 사업들을 이전하는 수준에서 관광을 접근하고 있는 것이다.

필자는 그러나 재단의 문제를 이야기하기 전에 몇 가지 선제 조건들을 말하고 싶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조급증에 걸려있다.

출범 1년이 지난 조직에 너무 빠른 성과를 기대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묻고 싶다.

‘발효’와 ‘숙성’의 시간이 더 필요 한 듯 보인다.

또 하나는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인력과 예산이 담보되어야 하는 데 과연 이러한 두 가지 조건들이 주어졌는지, 재단이 아닌 도의 상급 기관에 그 책임을 먼저 물어야 하는 것이다.

이는 재단의 문제라기보다는 재단의 시스템을 만든 도의 문제라는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