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신동 방향 차선 직선 가깝고 감속-방향지시등 작동률 낮아

▲ 전주법원 앞 회전교차로.

전주법원 앞 로터리가 제 기능을 발휘 못한다는 지적이 계속돼 오고 있다.

이 곳은 도로 구조상 중앙 원형섬이 한쪽으로 치우쳐 있다.

법원에서 서신동 방향으로 가는 차선은 로터리와 관계없어 보일 정도다.

이 때문에 이곳을 통행하는 차량은 차량 속도를 줄이지 않고 통과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이 길을 자주 이용하는 사업가 이창엽(45)씨는 “법원에서 서신동 방향으로 진입하는 차선이 직진에 가깝다 보니 속도를 줄이지 않아 회전차량과 충동할 뻔한 상황을 자주 목격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지적에 대해 전주시는 “사유지 매입 등 여러 문제가 얽혀 원형섬을 옮기는 것이 쉽지 않다”면서 “그 문제로 이 구간에 과속방지턱을 설치한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아울러 이씨는 “로터리는 회전차량이 우선인데, 이를 모르는 운전자도 많은 거 같다”고 덧붙였다.

지난 2013년부터 전주시는 로터리를 설치했다.

로터리는 회전교차로로 진입차량보다 회전차량이 우선이다.

도로교통공단 전북지부에 따르면 전주법원 앞과 평화아파트 삼거리 로터리 등에서 통행차량을 분석한 결과 진입차량의 양보준수율은 37%, 로터리 진입시 감속하는 차량은 48.6%, 진출시 방향지시 등 작동률은 6.2%에 불과했다.

도로교통공단 전북지부 이정상 부장은 “전국 회전교차로 증가율보다 회전교차로 내 교통사고 증가율이 더 높아 운전자의 회전교차로에 대한 인식 개선과 운전행태 변화가 필요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로터리를 통과하려면 차량이 자연스럽게 속도를 줄여야하기 때문에 교통사고가 감소하고 특히 대형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며, “별도의 신호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신호운영이나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이 들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한편, 로터리는 교통사고 예방과 교통운영체계 선진화 방안의 일환으로 2010년부터 전국적으로 확대 설치되고 있으며, 전북은 현재 100여개소가 설치돼 있다.

/유범수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