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가축방역체계를 개선하겠다고 내놓은 조직개편안에 가용인력이 줄면서 방역체계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되레 커지고 있다는 소식이 본보 2면 톱을 장식했다.

이유인즉슨 조직개편안에 담긴 가축방역인력이 전남과 충남, 충북 등과 비교해 70~80% 수준에 불과해 적절한 인원조정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최근 도는 ‘가축전염병 대응 전담부서 신설’과 ‘소방인력 확충’, ‘세계잼버리추진단설치’ 등을 담은 조직개편안을 입법예고 했다.

이번 개편안이 도의회를 통과하면 도내 가축방역을 담당해 온 축산과는 ‘축산과’와 ‘방역위생과’ 둘로 쪼개진다.

축산과는 기존 1과 5팀 21명에서 2과 6팀 27명으로 조직이 개편된다.

앞으로 가축방역업무는 방역위생과가 전담하게 된다.

그러나 대외적으로는 과가 쪼개지고 인력이 소폭 늘어나지만 적절한 인원증원 없이 조직이 개편되면서 가축방역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전북은 겨울철새 등의 영향으로 사실상 매년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하고 있을 뿐 아니라 구제역과 브루셀라, 결핵, 뉴캐슬 등 가축전염병이 상시 출몰하고 있다.

도는 그동안 가축전염병의 특성을 고려, 조기진화에 많은 인력을 투입해 왔다.

그러나 이번 조직개편이 진행되면 가용인력이 오히려 줄면서 방역체계의 구멍이 발생하게 됐다.

특히 전북은 한육우 11.9%, 돼지 11.5%, 닭 31.9%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가축사육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도내 담당인력은 타시도와 비교해 현저히 적은 상황이다.

실제 강원도는 1과 6팀 24명에서 2과 8팀 31명으로, 충북도는 1과 6팀 21명에서 2과 8팀 28명, 충남도는 1과 5팀 21명에서 2과 8팀 28명 등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밖에도 전남도와 경북도, 경남도 등 대부분 지자체가 전북과 비교해 많은 인력을 확충, 배치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한다.

물론 사람만 많다고 일을 하는 건 아니다.

사람, 인력 못지않게 중요한 게 시스템과 체계다.

그렇다 하더라도 그 시스템을 돌리고 체계를 잡는 최소 인력은 사람의 몫이다.

담당부서의 업무폭증을 줄이고 해마다 반복되는 각종 가축전염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대처에 나설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