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자등 대부분 인식 부족
복잡한 이용절차 '요지부동'
선불 사업자 4개 업체 시행
홍보-교육 부족 "이해 못해"

한국은행이 ‘동전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지만 여전히 시장에 안착하지 못하고 있다.

소비자나 유통업체 관계자 대부분 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데다 복잡한 이용 절차 등으로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협력 체계를 구축해 할 지역본부에서 사업 추진 계획조차 모르고 있다는 점 역시 답보 상태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선불사업자 3곳(하이플러스카드, 한페이시스, DGB유페이)과 편의점사업자 1곳(GS25) 등 총 4개 업체를 동전없는 사회 시범사업자로 추가 선정했다.

이에 현재 시업자는 마트 및 편의점 사업자 6개, 선물사업자 10개 등 총 16개 업체로 확대됐다.

매장수 기준으로는 전국 3만6천500여 곳이다.

더욱이 지난 7월부터 서비스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시범사업자를 상시 모집하고 있어 유통업체를 중심으로 잔돈 적립이 가능한 매장의 수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한은은 기대하고 있다.

이는 거스름돈을 선불전자지급 수단에 적립하는 정책으로, 동전사용 및 휴대에 따른 불편을 완화하고 유통 및 관리에 들어가는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지난 4월부터 시범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한은이 추진 속도를 내고 있는 것과 달리 사업 실적은 답보 상태다.

7월 중 잔돈적립 건수 및 금액은 각각 일일평균 3만4천391건, 648만원으로, 6월(3만4천457건, 616만원)이나 5월(3만5천21건, 602만원)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홍보나 교육 부족으로 인해 업체 관계자들이 제도 자체를 잘 이해하지 못해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데다 사업 내용 자체를 모르는 소비자들이 대부분임에 따른 것이다.

여기에 업체별로 쓸 수 있는 적립수단이 제각각으로 이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는 점 역시 사업이 고전을 면치 못하는 원인으로 분석됐다.

문제는 이 같은 지적이 사업 시행 당시부터 제기됐음에도 여전히 개선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또한 지역본부와 관련 내용을 전혀 공유하지 않고 있다는 점 역시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동전없는 사회는 전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으로 한은 계획대로 2020년까지 시장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지역본부와도 협력체계를 구축해 추진해야 함에도 기본적인 소통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동전없는 사회 취지를 살리기 위해 지역 본부와 협력 체계를 구축해 홍보하고 참여업체 직원 교육을 강화함은 물론 이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끌어낼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도내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본사에서 전달을 받기는 했지만 이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드물다 보니 적극적으로 안내하지 않고 있다”며 “사실, 홍보 등이 미흡해 전혀 활성화되지 않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한은 전북본부 관계자는 “전달받은 지침이 없어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며 “지적되는 부분에 대해 좀 더 관심 있게 바라보겠다”고 말했다.

/김성아기자 tjddk@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