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내부에 대규모 수상 태양광발전사업을 조성하는 사업과 관련, 다각도의 고민에 빠졌다.

새만금 종합개발계획에 없는 풍력발전단지가 내측에 들어서며 이미 한 차례 홍역을 치른 전북도다.

자칫 태양광발전사업으로 새만금 조기개발이 기약 없이 늦춰질 수 있어서다.

태양광발전사업은 최장 30년 동안 해당 부지를 사용할 없다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환경문제는 차치하더라도 도 입장에서 볼 때, 새만금 내부개발에 막대한 영향을 가져 올 수 있다는 것.

당장 종합개발계획에는 명품수변도시를 앞세우고 있는 만큼 담수호를 활용해 친환경수상교통체계를 확보하고, 주거 공간 역시 수변지역을 중심으로 배치될 경우 자칫 담수호를 중심으로 하는 각종 수상·레저산업이 기약 없이 미뤄질 수밖에 없다.

새만금 내부개발을 방해하지 않고, 설치에 따른 이익이 도민들에게 돌아간다면 굳이 반대할 이유가 있을까? 도가 고민하는 지점이다.

이는 새정부가 탈원전을 선언하고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공식화하고 있는 상황을 의식한 현실적 입장으로, 상호 윈윈의 방안이 선행된다면 반대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인 것이다.

새만금개발청은 기가와트 이상의 신재생에너지단지를 조성할 계획을 갖고, 새만금 담수호 부지를 활용해 대규모 수상태양광발전사업 조성을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지난달에는 이 사업에 대한 유관기관의 의견을 이미 청취한 바 있고, 청와대에 관련 내용을 보고했다.

이들은 올 연말 연구용역 결과를 가지고 지역주민과 업체, 발전사업자 등과 함께 신재생에너지단지 조성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일단 새만금 담수호에 기가와트의 태양광발전단지가 조성되면 전체 면적 중 20~30% 가량을 점유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또 방조제 내측부터 동진강과 만경강이 유입되는 담수호 상당부분에 태양광발전시설이 건립될 것이라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이는 가설일 뿐 아직 용역결과는 나와 봐야 알 수 있다.

이 사업이 내부개발을 크게 방해하지 않는 선에 있고, 민간과 도민, 지역 업체들이 최대한 참여하는 방안들이 마련된다면, 그래서 그 이익이 도민들에게 돌아가는 안들이 돌출된다면, 꼭 반대만 해야 할 사업은 아닐 것이란 생각이다.

예단은 금물이란 생각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