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사랑 상품권’ 도입이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지만 전북의 움직임은 뒤늦은 감이 없지 않아 자칫 호기를 놓치는 것 아니냐는 보도가 나왔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공동체 회복을 위해 도입된 ‘고향사랑 상품권’은 정부가 도입 장려를 위해 자치단체에 설명회까지 열며 장려하고 있는 사업이다.

혁신도시나 지방·국가직 공무원들이 복지 포인트를 상품권으로 지급받아, 지역에서 사용하도록 하겠다며 독려하고 있다.

    전북은 현재 상품권의 도입과 활성화를 위한 운영이나 발행, 각종 부대비용 등 관련예산이 내년 본예산에 한 푼도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도내에서는 현재 김제와 완주·임실·장수 등 4개 지역만 상품권을 발행하고 있고, 나머지 10개 시군은 상품권 발행이 아예 없는 상태다.

    송하진 도지사는 최근 간부회의에서 정부의 정책방향에 발맞춰 상품권 도입을 시.

군에 확대하고, 활성화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사의 이런 생각과 달리 현실은 정반대다.

    내년 예산에서 상품권에 대한 비용이 전혀 반영되지 않으며 도가 정부의 정책방향과 쾌를 같이하고 있지 못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것.

게다가 이들 4개 시군을 제외하면 추가로 상품권을 확대할 시군 역시 전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도내 대부분의 시군들이 상품권 도입에 미온적 태도로 일관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자아내게 하는 대목이다.

    사실 현실적 벽이 없지 않다.

상품권 발행에 드는 막대한 발행비용은 자치단체의 발목을 잡고 있는 부분이다.

각종 복지수당과 공무원 복지포인트 등 발행요인이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품권 도입을 위해서는 운영인력, 시설, 장비 등도 뒷받침돼야 하는 탓에 시군에서도 도와 매칭을 통해 사업을 추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도와 시군이 내년 추경 편성을 통해 관련예산을 확보하기 전까지 상품권도입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속사정을 이해 못하는 바는 아니지만 상품권 도입이 늦어질수록 전북의 이익이  반감되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이런 저런 이유들로 전북 내 혁신도시 공직자와 지방.

국가직 공무원들에게 할당된 복지포인트 수당만큼의 상품권이 타 시도로 역외 유출될 가능성만 커지고 있는 것이다.

도와 시군의 발 빠른 조율작업을 통해 고향사랑 상품권의 전 지역 도입이 연내에 추진될 수 있기를 희망해 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