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감사에서 전체 직원의 50% 이상이 비정규직으로 채워져 논란의 중심에 섰던 농촌진흥청.

최근 이 기관이 노동계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고 한다.

비정규직에 대한 정규직 전환심의위원회가 열리는 데, 그 심사 규모가 무려 3천여명에 달한다.

노동계의 눈과 귀가 쏠리는 이유는 정부부처 최대 규모의 비정규직이 근무하고 있는 농진청의 이번 결정이 다른 공공기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농진청은 지난 국감에서 전체 직원 5천267명 중 정규직은 1천774명, 무기계약직은 514명에 불과했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2천12명이 모두 기간제 근로자, 비정규직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전체의 57.6%에 해당하는 비율로 직원 10명 중 6명이 비정규직인 데다 이중 4명은 1년 미만의 기간제로 밝혀져 공분을 샀다.

이는 우리나라 공공부문 852개 기간의 평균 비정규직 비율인 16.8%의 3배가 넘는 수치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정부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비정규직에 대한 낮은 처우는 물론 정부 지침에 반하는 ‘꼼수 채용’이 이어져 노조가 크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농진청이 기간제 계약직을 산하기관에 돌면서 반복적으로 1년 미만의 계약을 체결하거나 10개월 계약 후 1년 연장하는 등 2년 이하 근로 계약을 체결하는 관행을 계속하고 있다는 것.

또 정부 가이드라인 발표에도 불구, 117명을 계약해지하거나 ‘연중 9개월 업무’ 조항을 피하기 위해 200여명을 신규 채용하면서 8개월, 6개월은 물론 3개월 단위 계약을 진행해왔다.

농진청에서는 지난달 18일 1차 정규직전환 심의위원회에 이어 이달 14일 2차 회의를 개최할 계획이다.

정부가 올해 말까지 기간제 근로자의 정규직화를 선언한 만큼 농진청은 이번 심의위원회에서 정규직 대상을 선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농진청의 고유 업무인 연구기관의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상적인 채용과 합당한 대우는 해결해야할 선결과제임은 분명하다.

노동계는 물론 우리사회 상당 분야의 계층구조가 이번 농진청의 정규직 전환심의위를 지켜보고 있다.

우리 사회에 미칠 파급효과가 긍정적일 것인지, 아니면 부정적일 것인지, 또 초유의 고용 대란을 불러올 것이냐, 아니면 모범적 고용안정을 불러올 것이냐는 전적으로 농진청의 몫인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