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인플루엔자 등 가축전염병을 일선에서 전담하는 ‘가축방역관’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는 소식이다.

타시도 인력유출뿐 아니라 채용과정에서 미달사태가 반복되면서 처우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최근 도와 시군이 가축방역관에 대한 채용절차를 진행했지만 대부분 시군이 지원자가 없어 가축방역관을 채용하지 못했다고 한다.

지난 8월 도와 시군은 행정안전부와 협의과정을 거쳐 가축방역관의 업무 폭증을 줄이기 위해 44명을 채용키로 했다.

당시 채용과정은 인력확보를 위해 시험과정이 생략되는 등 채용절차가 간소화됐다.

하지만 채용절차를 마친 결과 응시자가 아예 없거나 합격자가 발표된 후 합격자 등록절차를 참여하지 않으면서 미달사태가 속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확보한 인력은 고작 22명에 불과했다.

특히 도는 가축사육두수가 많거나, AI 등 가축전염병이 반복해 발생하는 시군에서 되레 인력 충원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실제 이번 채용에서 인력을 확보하지 못한 시군은 고창, 정읍, 부안, 김제, 익산 등 대부분 반복적으로 AI가 출몰하는 시군에 집중됐다.

시군 가축방역관은 가축전염병 발생 시 최소 수개월 동안 해당업무에 투입되는 등 업무폭증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도는 앞선 전례를 놓고 볼 때 힘들게 채용한 가축방역관조차 상당수 이탈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간 시군에서 근무한 상당수 가축방역관들도 가축전염병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한 타 지역으로 직장을 옮겼거나 퇴직 후 자영업을 선택했던 전례들에 비춰볼 때 이후 이탈 사태는 더욱 커질 것이라 보고 있다.

이처럼 가축방역관 인력 확보가 어려운 데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채용절차가 시도별 복수지원이 가능한 구도다 보니 업무강도가 높지 않은 지역으로 인력쏠림이 이뤄진다는 것.

역으로 전북처럼 업무강도가 높은 곳에서는 그만큼 인력 확보가 어려운 것이다.

7급으로 채용돼 6급으로 퇴직하는 등 승진기회가 지극히 차단된 현 인사구조의 문제도 인력 확보의 어려움을 부채질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가축전염병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와 방역, 전염병 예방 등 업무가 넘치는 상황에서 동기부여마저 되고 있지 않은 것이다.

지금이라도 이런 불합리한 처우들을 개선하고, 전반적 제도개선을 통해 가축방역관을 확보, 다양한 형태의 가축전염병에 대처해 나가야할 것이란 생각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