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자동차-기계-조선 등
대기업 중심 제조업 급속성장
글로벌 경쟁 업황악화 이어져
2011년 정점 찍고 내리막길로

전북 강점살린 산업 발굴육성
중기 특화품목 기술개발 지원
대기업-중기 상생구조 만들어
전북 경제 보배로 잘 꿰어야

‘전북 경제가 위기다.’

식상한 말이긴 하지만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전북경제 성장률이 대체로 전국 수준을 하회하고 있는 데다 생산지수, 수출, 고용 등 어느 부분 하나 신통한 구석이 없기 때문이다.

바꿔 말하면 전북경제를 책임지고 있는 산업구조가 변화에 따라가지 못하면서 크게 흔들리고 있다는 의미기도 하다.

특히, 군산 경제는 물론 전북의 조선산업을 이끌어 온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폐쇄와 익산 넥솔론의 청산, GM군산공장 가동 중단 등은 이를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주저앉고 있는 전북산업의 토대를 공고히 하기 위해 변화하는 산업구조의 패러다임 속에서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현재 전북 산업구조의 현황을 되짚어보고 전체적인 큰 틀에서 대응 전략을 모색해 봤다.

더 나아가 전북도의 △농생명(농생명·식품) △탄소·융복합소재(탄소소재·섬유복합재·방사선·인쇄전자) △창조·ICT융복합(IT/SW융합) △자동차·기계(자동차, 조선, 해양, 기계) △그린에너지(태양광·풍력·바이오화학·LED·연료전지) 등 5개 분야 15개 산업 중 타지역과 경쟁에서 비교적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식품과 자동차 산업에 대한 대응전략에 대해서도 좀 더 면밀히 들여다봤다.
/편집자주


▲전북 산업구조의 현황 및 문제점=전북경제를 지탱하고 있는 산업구조의 기틀이 마련된 시작점은 2003년이라고 할 수 있다.

전북은 정부의 클러스터 중심의 지역산업 육성정책에 따라 이 때부터 지역 내 비중이 높거나 성장이 유망한 제조업 업종을 중심으로 전략산업을 선정·육성에 몰두하며 산업구조의 틀을 다져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의 지역산업 육성정책은 1990년대 후반에 시작, 당시 전북은 지역산업 1단계에서는 제외됐다가 2003년 노무현 정부 때 추가로 지정해 줄 것을 요청해 뒤늦게 지역산업진흥사업에 합류했다.

전략산업 출발이 조금 늦은 셈이었다.

이런 추진 배경 속에 전북은 자동차, 기계 등 대기업이 입지한 제조업을 중심으로 주력산업을 적극 육성하며 이와 관련된 대기업 및 협력업체 등을 유치했다.

자동차 부문의 경우 한국지엠(2002년) 및 타타대우(2004년), 기계부문에서는 LS엠트론(2006년) 및 두산인프라코어(2007년), 화학부문은 OCI(2008년·폴리실리콘), 조선부문은 현재중공업(2010년) 등 대기업의 공장설립이 이어지면서 전북의 산업지형도 이를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됐다.

이에 전북의 산업 경쟁력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지역내총생산(GRDP) 중 제조업 비중이 2002년 23.9%에서 2015년 27.2%로 상승했다.

반면, 서비스업(55.1%→53.8%), 농림어업(11.9%→8.6%) 등의 비중은 하락했다.

하지만 문제는 제조업의 중심의 주력산업 성장세가 그리 오래 가지 못했다는 점이다.

2010년 전후로 대기업의 공장설립 초기 기저효과가 소멸되고 자동차, 화학, 조선 등 일부 주력산업이 글로벌 경쟁 심화로 업황까지 악화되면서 생산이 2011년 정점을 기록한 뒤 내리막길을 걷게 됐다.

전국이 완만한 상승세를 보인 것과 대조적으로 전북의 제조업 생산지수는 2011년 107.7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감소세로 전환, 특히 주력산업 연광업종 지수는 2011년 103.0에서 2016년 63.7%로 40% 가까이 하락한 것이다.

결국, 전북은 대기업을 중심으로 보다 쉽고 빠르게 성장 동력을 확보하며 급성장해 온 산업 경쟁력이 글로벌 경기 둔화 및 대외 여건변화 등으로 경쟁 환경이 악화되자 가격, 기술력, 인프라 등에서 확실한 우위를 차지하지 못하면서 위기에 봉착했다.

출발부터 대기업 의존도가 높았던 만큼 이들 기업의 위기에 따른 전북 산업의 위기라는 당연한 결과인 셈이다.


▲위기를 벗어나기 위한 대응 방향=이로 인해 산업구조를 재편,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한국은행 전북본부는 전북의 산업구조 현주소를 객관적으로 진단, 현재 고용, 부가가치 등에 있어 지역경제를 주도하고 있는 산업을 대상으로 미래 성장가능성의 관점에서 종합적인 경쟁력을 평가해 육성책을 수정·보완해야 한다고 적극 제안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주력산업 육성정책이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기보다는 타지역의 성공사례를 참고해 추진 될 경우 지역 경제에 부작용을 초래하는 만큼 전북의 강점을 제대로 살릴 수 있는 산업을 선택·육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내외적인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성장 동력산업을 확대하기보다는 현재 어떤 산업이 전북 경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지를 최우선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 생태계 조성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전북경제가 최근 부진을 면치 못하는 원인 중 하나가 특정 대기업에 과도하게 의존한 경직적인 구조인 만큼 이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다.

 물론 지역 산업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대기업 유치가 필수적이지만 절대적인 의존이 아닌 대기업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되 주력산업 내에서 다수의 중소기업이 특화된 품목과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연관 중소기업을 집중 발굴·육성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런 상생 구조가 마련돼야 전북의 산업구조 역시 안정적으로 구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성아기자 tjddk@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