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을 비롯한 지역경제 상황이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군산권은 전북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으며 새만금이 상징하듯 전북의 미래가 걸려있는 지역이다.

군산이 어려움을 겪으면 그 여파는 인근 지역으로 이어지게 되고 결국 전북 경제에도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문제가 생기면 가능한 신속하게 해법을 찾아야 한다.

지난 해에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으로 지역 경제에 엄청난 타격을 줬다.

실질적인 경제 타격에 덧붙여 현대중공업이라는 대기업이 주는 상징성도 컸다.

군산은 벌집을 쑤신 듯 했다.

그러다 이번에는 국제적 기업인 GM이 군산 경제를 뒤흔들고 있다.

한국GM은 5월 안에 군산공장을 닫겠다는 일정을 발표했다.

군산은 엎친 데 덮친 격이 됐다.

그러나 해법이 마땅찮다.

이들이 민간기업이라는 점 때문이다.

지난 해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사태가 발생하자 문재인 대통령은 조속히 대책을 세우라고 정부에 지시했다.

이낙연 국무총리와 청와대 장하성 정책실장 등이 현대중공업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이낙연 총리는 7월 군산을 방문한 자리에서 “문 대통령께서 총리 지명 발표한 뒤 맨 처음 하신 말씀이 전북을 책임지고 챙겨달라, 특히 군산조선소 새만금 전주혁신도시 등 세 현안을 각별히 챙겨달라고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는 지금 이 순간에도 특단의 대책은 마련되지 못한 상태다.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일정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이상의 파장을 몰고 오고 있다.

군산공장뿐만 아니라 협력업체들이 받는 피해가 엄청나다.

GM 사태 역시 전북도와 정치권이 총력을 다해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해법이 요원하다.

이른바 호주식 대책이 논의되기도 했지만 GM 문제가 워낙 복잡한 상황이어서 어떻게 해결될 지 미지수다.

전북도와 여야 정치권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대책을 세우느라 여념이 없다.

전북도 송하진 지사는 한국GM 대책을 현안 제1순위로 세워놓고 총력을 다하고 있다.

정부와 국회를 수시로 방문하고 장차관 그리고 관련 국회의원들에게 대안 마련을 호소하고 있다.

여야 정치권도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해 발빠르게 대책 마련에 나섰다.

집권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중앙당 차원에서 대책특위를 구성해 범여권 차원에서 해법을 논의하고 있다.

야권의 움직임도 신속하다.

민주평화당은 전북 지역구 국회의원 10명 중 5명이나 있어 즉각 당 차원에서 대책을 수립 중이다.

바른미래당은 당의 중추인 김관영 의원의 지역구가 군산이다.

중앙 및 도당 차원에서 군산 해법을 강력하게 촉구하는 배경이다.

김 의원의 경우 한국GM 사태 해결 여부에 따라 정치적 명운이 정해질 수도 있다.

김 의원은 바른미래당 소속인 정운천 의원과 함께 연일 군산 사태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처럼 전북도와 여야 정치권이 모두 군산 사태 해결에 올인 중이다.

더욱이 6.

13 지방선거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점에서 여야 정치권은 경쟁적으로 해법을 촉구하고 있는 상태다.

이 때문에 한국GM 사태가 지방선거의 주요 변수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야권이 군산 경제 초토화를 선거 이슈로 내세우면 그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전북도와 여야 정당이 사태 해결에 올인 한다 해도 해법 찾기가 쉽지 않다는 데 있다.

현대중공업 사태에서 나타났듯 문 대통령과 이 총리 등 정부가 나섰지만 여전히 대책이 오리무중이다.

현대중공업이 민간기업이기 때문이다.

현대중공업과 마찬가지로 한국GM도 일반 민간기업이다.

정부가 대책을 촉구해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전북도와 정치권이 군산 해법을 어떻게 제시하느냐는 문제는 단순히 전북 지방선거와 연결시킬 사안이 아니다.

지방선거에서의 유불리를 떠나 군산 사태 해법은 전북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차대한 사안이다.

도와 정치권이 정쟁, 정략을 떠나 한 목소리로 대책 마련에 머리를 맞댈 시점이다.

/김일현 정치부장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