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천안함 폭침사건으로 촉발된 5·24조치와 2016년 개성공단 폐쇄, 잇따른 북핵 개발 등 지난 이명박 박근혜 두 정부 기간 동안 남북관계는 살얼음과 같았던 게 사실이다.

그런데 11년 만에 두 정상이 만나 종전을 선언하고, 한반도 비핵화, 세계 평화를 선언하고 있다.

김정은 국방위원장의 입에서 이런 공동선언이 나올 것이라고는 어떤 외신도, 대북전문가들도 없었다.

그야말로 파격 그 자체다.

앞서 보여준 평창동계올림픽 때 북측의 주요 인사들이 참석하고 남북 선수단의 동시 입장,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단일팀은 여전히 우리들에게 감동으로 남아 있다.

이런 움직임에 전북도 역시 일찍부터 대북교류사업에 잰걸음을 보이고 있다.

우선 도는 북한과 협의해 산림복원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늦어도 이달 안에 전문가 간담회를, 6월에는 남북교류협력위원회를 열고 새로운 교류협력사업을 발굴해 나가기로 했다.

도는 현재 도내 시·군과 함께 2008년부터 총 99억 원의 남북교류협력기금을 모아둔 상태다.

지난해에는 무주 세계태권도대회에 북한 시범단이 참가, 단절됐던 남북스포츠 교류의 물꼬를 튼 바 있다.

북과의 연결고리가 여전히 이어지고 있는 만큼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사업들을 재개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전주시 역시 새정부 출범 후 남북 민간교류 코드에 발맞춰 지난해 이미 각계인사 15명으로 구성된 ‘전주시 남북교류 협력위원회’를 출범시킨 바 있고, 조만간 첫 간담회를 열 계획이다.

여기서 남북교류협력조례 개정, 협력사업 활성화는 물론 남북 협력기금의 존치 기한 신설 등의 내용 등을 다룰 전망이다.

시는 단순한 지원을 넘어 남북교류 협력사업의 구체적 대안을 마련하고 이를 논의할 실무기획단을 구성하는 한편 스포츠와 문화, 국제 부문으로 나눠  북한과 교류하는 방안도 준비 중이라고 한다.

시는 이 밖에도 조례안이 의회를 통과하는 대로 추경을 통해 자체 협력 기금을 마련하는 등 남북교류 협력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남북 화해 협력 분위기는 향후 전북의 대북교류 사업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될 것이 분명하다.

그렇기 때문에 자치단체별로 너나할 것 없이 남북교류사업들을 재개하고 있다.

이런 분위기는 우리만 감지하고 있는 것이 아닌 것이다.

다시 오지 않을 천재일우의 기회인만큼 전북의 자치단체들이 앞장서 눈에 띄는 아이템과 차별화된 사업들로 대북교류 사업들을 선도해 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