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경제가 벼랑 끝에 몰리면서 20~30대 젊은 층의 ‘지역 이탈 현상’이 나날이 심화되고 있다는 본보 지적이 제기됐다.

눈에 띄는 대목은 농촌보다는 도시지역, 그리고 젊은 층들의 전북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또 최근 한국 GM군산공장 폐쇄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 등의 여파로 경제위기를 맞고 있는 군산지역이 올해 뿐 아니라 수년째 한 분기도 거르지 않고 순유출지역으로 꼽히고 있다고 한다.

이는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1/4분기 호남·제주지역 경제동향’에 따른 것으로, 지난 1분기 전북지역 국내인구는 184만8천명으로 5천194명이 유출됐다.

지난해 1분기보다 1천849명이 더 떠났으며, 5분기째 순유출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올해 들어 한국GM 군산공장 가동중단으로 인해 전 분기보다는 무려 5천142명이나 유출됐다.

이 여파로 인해 광주, 전남, 전북 등 호남권 중 전북이 순유출인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도내 순유출 인구를 연령별로 보면 20~30대 젊은 층의 전북이탈 현상이 두드러졌다고 한다.

0~9세, 10~19세, 20~29세, 30~39세, 70세 이상은 순유출이었으며 50~59세, 60~69세는 순유입으로 파악됐다.

또 14개 시·군 중 전주와 진안을 제외한 12개 지역은 순유출로 파악됐다.

순유출 지역 중 익산시가 2천170명으로 가장 많은 인구가 타 지역으로 빠져나갔지만 군산시가 수년째 한 분기도 거르지 않고 순유출 지역으로 꼽혔다.

이처럼 도심지역일수록, 20~30대 등 젊은 층일수록 이탈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은 더 나은 교육 환경은 물론 경기 위축이 심화되면서 지역에서 일자리를 찾지 어려워짐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1분기 도내 취업자가 전년 같은 분기보다 9천900명 더 준 것이 이를 반증하고 있다.

군산경제 붕괴가 전북경제를 흔들면서 경기는 물론 소비까지 위축되면서 거리로 내몰리는 도소매·음식·숙박업종의 자영업자들이 늘었다는 점 역시 일자리 축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 경제 및 소비 활성화 분위기를 조성, 무엇보다 지역의 경쟁력과 직결되는 젊은층이 전북을 떠나지 않도록 대책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결국 문제는 일자리다.

이는 곧 지역 경쟁력의 약화로 이어지는 만큼 이들이 지역, 전북에 머물 수 있도록 근본적 대책을 마련하는 일.

이것이 현재 전북의 지역사회가 풀어야할 당면 과제가 아닌가 싶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