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때 31% 변수 작용클 듯
무소속 접전지 결정적 요인
각 캠프 참여 독려 골몰 중

6·13지방선거 전북 지역 광역 및 기초단체장, 지방의원 대진표가 확정된 가운데 내달 8일과 9일 사전 투표를 둘러싸고 각 후보 캠프 진영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각 후보 진영마다 사전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삼삼오오 머리를 맞대고 선거법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득표율을 올리기 위한 아이디어 짜내기에 골몰하는 모습이 감지되고 있다.

사전 투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19대 대선 당시 전북의 사전투표율이 31%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는 2016년 20대 총선 당시 전북 사전투표율(17.33%)보다 1.8배나 높은 수치다.

전국 평균 26.06%를 훨씬 웃도는 수치이라고 선관위는 분석했다.

특히 시군지역의 사전 투표율이 높게 나타나 이번 선거에서도 변수로 작용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지역 정가의 분석이다.

지난 대선 당시 지역별 투표율은 진안군 35.07%로 가장 높았으며 순창군 34.54%, 임실군 34.32%, 고창군 34.32%, 장수군 33.20%, 완주군 32.68%, 무주군 32.59%, 익산시 32.10%, 남원시 32.00%, 전주시 완산구 31.91%, 전주시 덕진구 31.54%, 정읍시 31.04%, 부안군 30.61%, 군산시 29.91%, 김제시 29.11% 순이다.

사전 투표제는 선거 당일 투표가 어려운 유권자들을 위해 투표 참여 독려 차원에서 도입된 제도로 전국 읍면동사무소에서 신분증만 있으면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28일 전북도와 전북도선거관리위원에 따르면 사전 투표제는 201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처음 도입했고, 전국단위로는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실시했다.

과거에는 자신이 거주하는 선거구에서 투표하거나 사전 신고 절차를 거쳐 부재자 투표를 해야 했지만 이 같은 불편함이 말끔하게 해소된 것이다.

예를 들어 선거 당일 외부 출장이나 해외에 나갈 일정이 잡힌 경우 사전 투표일인 내달 8일과 9일 사이에 하면 된다.

사전 투표는 최근 정치 불신감 확산에 따른 유권자들의 투표 참여 제고를 위한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이번 6·13 지방선거에서도 상당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실제 전북 지역의 경우도 더불어민주당과 민주평화당, 무소속 후보들간 접전이 예상되는 격전지의 경우 사전 투표율이 어느 정도에 이르냐에 따라서 선거 결과에 적지 않은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같은 이유로 각 후보 캠프에서는 사전 투표에 대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으며 지지자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사전 투표 참여를 독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무소속 후보와의 초접전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는 일부 농촌 지역 기초·광역의원 선거의 경우 사전 투표 결과가 당락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도시 지역도 예외는 아니어서 보통 선거일을 휴일로 인식하는 20대 젊은층들의 사전 투표 참여도에 따라서 후보자별 득표율에 희비가 엇갈릴 수 있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사전 투표제의 도입이 투표율 제고라는 순기능적 측면을 고려한 것이지만 자칫 유권자 실어나르기와 같은 구태 선거의 병폐를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1위 후보를 추격해야 하는 일부 2위 후보들에게는 사전 투표가 마치 법으로 보장된 엇나간 기회로 인식될 수 있어 클린 선거 정착을 위한 철저한 감시 체계도 시급하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