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투표를 둘러싸고 각 후보 캠프 진영이 벌써부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각 후보 진영마다 사전 투표율을 높이기 위한 아이디에 골몰하고 있는 데, 이는 사전 투표가 이후 본 투표에 영향을 미치는 선점효과가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사전 투표제는 선거 당일 투표가 어려운 유권자들을 위해 투표 참여 독려 차원에서 도입된 제도로 전국 읍면동사무소에서 신분증만 있으면 투표가 가능하다는 게 큰 장점이다.

말 그대로 13일 전에 미리 투표를 하는 유권자 권리행위다.

소수의 투표지만 이를 통해 각 후보 진영이 미리부터 득실 계산을 하고 이후 공략 연령층과 계층, 지역 등을 파악하는 중요 데이터로 활용하기도 한다고 한다.

지난 19대 대선 당시 전북의 사전투표율은 31%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는 2016년 20대 총선 당시 전북 사전투표율(17.33%)보다 1.8배, 전국 평균 26.06%를 훨씬 웃도는 수치였다.

특히 시군지역의 사전 투표율이 높게 나타나 이번 선거에서도 각 후보진영 마다 득실 계산의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지역 정가의 대체적 시각이다.

사실 엄밀히 따지면 사전 투표만으로 후보의 유불리를 따지긴 어렵다.

그러나 각 후보 진영에서는 저마다의 계산법으로 투표 참여 연령대와 계층, 지역에 따라 향후 본선거의 향방이나 득실을 유추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런 분위기는 사실 문재인 대통령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문 대통령은 대선 후보 당시 사전투표율이 25%를 넘기면 프리허그를 하겠다며 투표를 독려하기도 했다.

투표율 상승이 문 캠프와 진보진영에 득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 행동이었던 것이다.

당시 상대적으로 젊은 층의 참여율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 아래 문 후보가 유리할 것이란 관측이 일각에서 나왔다.

그러나 반대로 보수 진영 결집 등 반대 가능성도 상정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사전 투표제의 도입이 투표율 제고라는 순기능적 측면을 고려한 것이지만 자칫 유권자 실어 나르기와 같은 구태 선거의 병폐를 불러올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1위 후보를 추격해야 하는 차순위 후보들은 사전 투표를 통해 분위기를 선점하고 이후 본선거까지 그 분위기를 이어가는 방편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과유불급.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

이 기간 법 위반 사례들이 상당수에 달함은 후보들이 주지해야할 사실이다.

사전투표도 본 투표 못지않게 철저한 감시가 이루어져야할 뿐 아니라 각 후보 진영 역시 투표 독려는 물론 클린 선거를 위해 동참해야할 것이란 생각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