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7기, 격동의 전북 정치-행정 #중

중앙당 정계개편 불가피
바른미래 행보따라 변수
한국 보수통합 가능성 커
민주발 정계재편 미지수

상. 집권 민주, 전북 현안 성사 여부 관건

중. 야권 발 정계개편과 전북 정치 변화

하. 정치-행정, 여야 협력 체계 가속화 
 

전북은 10명의 지역구 국회의원이 민주당 2명, 민주평화당 5명, 바른미래당 2명, 무소속 1명 등으로 여야가 골고루 포진하고 있다.

전북은 이처럼 다당제가 이뤄지고 있지만 중앙 정치권은 지방선거 이후 환경이 급변했다.

언제 어느 순간 정계재편이 일어날 지 예측하기 어렵다.

정계개편은 전북 차원에서 진행되지 않는다.

중앙당에서 방향이 잡히면 그대로 진행된다.

6.13 지방선거에서 패배한 야권은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 회생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자유한국당은 18일 당 해체까지 선언했고 바른미래당은 지도부 총사퇴, 민주평화당은 조기 전당대회 개최로 방향을 잡았다.

이 과정에서 민주당을 제외한 야권은 자연스레 통폐합 즉 정계재편의 소용돌이에 휩싸이게 된다.

실제로 △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 △민주당-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바른미래당 내 호남 의원의 통폐합을 중심으로 한 야권발 정계개편 시나리오가 돌고 있다.

이 중에서도 국회 제3당인 바른미래당의 행보가 결정적 변수가 될 전망이다.

바른미래당은 이번 선거에서 가장 큰 패배를 당했다.

유승민, 박주선 공동대표의 사퇴로 김동철 비대위원장 체제로 전환됐다.

김동철 비대위원장은 당의 최대 위기 상황에서 한국당이나 평화당을 기웃거릴 의원이 없다고 강조하면서 당내 단속에 들어갔다.

하지만 야권 안팎에선 바른미래당이 정계재편의 중심 축이 될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많다.

한국당이 해체하고 새롭게 출범하게 되면 이 과정에서 바른미래당과의 보수 통합이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

개혁중도보수를 기치로 내건 바른미래당과 한국당내 중도보수가 합쳐지게 되면 새로운 중도보수 정당이 만들어진다.

만일 바른미래당이 갈라진다면 상황은 또 달라진다.

바른미래당내 호남권 의원은 6명 정도다.

이들이 당을 나와 민주평화당-정의당과 합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한국당-미래당’의 보수정당 그리고 ‘평화당-미래당 호남권’의 진보정당으로 구분된다.

야권발 정계재편 시나리오와 달리 민주당과 민주평화당이 전격 통합, 연대할 것이라는 설도 있다.

민주당은 지방선거 압승으로 정국 운영에 탄력을 받게 됐다.

그러나 국회를 안정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해선 평화당과 전격적으로 연대나 통합을 논의할 수 있다.

정서적으로 이념 등이 비슷하기 때문에 양 당이 힘을 합치는 게 가장 이상적이라는 시각이 많다.

이처럼 지방선거 이후 야권발 정계재편이 시도될 경우 호남 특히 전북 정치권의 분위기가 주목된다.

전북은 여야가 고루 혼재하고 있는데다 여야 간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전북 내부로 보면 민주당-평화당-무소속, 평화당-바른미래, 평화당-바른미래-무소속 등 3가지 시나리오가 나올 수 있지만 중앙 정치 차원에서 어떻게 결정하느냐에 따라 전북도 따라가게 된다.

민주당을 중심으로 야권이 합류하게 되면 최대 관심사는 역시 지역위원장 문제다.

차기 국회의원 총선거가 2년도 채 남지 않았다는 점에서 누가 위원장을 차지하느냐가 관건이다.

실제, 민주당과 평화당 등 현역 의원과 원외 지역위원장이 겹치는 지역은 공동위원장 체제로 가자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질 수도 있다.

물론 정국 주도권을 잡은 집권 민주당이 인위적 정계개편에 반대할 수 있다.

지방선거까지 압승한 만큼 굳이 정계를 재편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 경우 유일여당과 다수의 군소야당이라는 현재의 국회 구조가 당분간 이어지게 된다.

/김일현기자 kheins@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