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이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혼란이 쉬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이미 시범근무에 들어간 기업도 일부 있지만 우왕좌왕하는 곳도 여전히 많다.

대부분 정부의 ‘가이드라인’이 현장에선 별 도움이 안 된다는 반응도 지배적이다.

현재 도내에서는 90개 업체가 당장 내달부터 주52시간 근무제 적용을 받게 된다.

공공 행정기관이 22곳, 제조업 25곳, 건설업, 금융보험 각각 4곳, 교육서비스업 10곳,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 10곳 등이다.

노선 여객 자동차운송업 1곳은 300인 이상 사업자지만 앞으로 1년간 한시적으로 탄력 근로제가 도입될 전망이다.

정부는 이번 제도로 근로자들의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이 높아지고 노동시간 단축에 따라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시행을 앞둔 현장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상당수 대기업과 공공기관은 근무시간 단축 등 근무환경 개선에 들어간 상태여서 제도 도입에 큰 문제가 없는 듯 보인다.

특히 근로자들은 늘어난 여가시간으로 '저녁이 있는 삶'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반면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이 대부분인 전북지역 사정은 다르다.

기업 입장에서는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력난을, 근로자들은 ‘임금 감소’를 걱정하고 있다.

특히나 주말 특근이나 야근이 작은 제조업 분야 기업들의 중견.

중소기업들의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기본급은 적고 시간외 근무수당이 많은 임금구조에서 일하는 생산직 근로자들은 소득이 줄 것으로 보여 불만이 크다.

52시간을 넘는 휴일근로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만큼 노동시간 감소로 소득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300인을 갓 넘는 중견기업들도 문제다.

이들 기업은 대기업과 같은 기준이 적용돼 내달부터 시행해야 하지만 당장 필요한 인력 채용과 인건비를 확보하는데 여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중소기업들은 최근 최저임금 인상에 이어 근로시간 단축까지 겹치면서 이중고에 빠져 있는 상태다.

시간제 근로자들이나 초과근무 수당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중소기업 직원들은 근로시간이 줄면 임금도 함께 줄어들게 된다.

대기업 근로자들은 근로시간이 줄어도 임금에 큰 변화가 없지만 이들은 입장이 다른 것이다.

임금 수준이 낮은 중기 근로자들에겐 가사에 큰 타격이 갈 수 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불필요한 회의와 결제 업무를 줄이는 등 집중으로 근무하는 시간을 늘리고 자율출퇴근제, 재택근무제 등 유연근무제, 탄력근무제를 대책으로 내놓고 있다.

그러나 이는 미봉책일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정부는 이번 제도 시행 이후 나타나는 문제점을 면밀히 검토하고 이후 근본적인 대책을 내놔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