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용역에 대한 표절 검사 시스템이 7월부터 도입된다고 한다.

전북도는 이 표절 검사 시스템 도입을 통해 표절율이 20%를 넘거나 핵심 내용 표절이 확인되면 시정 조치한다는 방침이다.

그동안 도 산하 연구기관들은 용역보고서를 제출할 때마다 표절논란 시비에 휘말렸었다.

실제 한희경 도의원이 표절 의혹을 제기했던 전북문화관광재단의 문화관련 용역보고서가 그 대표적 사례다.

지난 2016년 재단이 수의계약을 통해 용역 발주한 사업의 핵심 과업은 전북의 이야기 소재를 수집·발굴하고, 이를 체계적인 스토리텔링으로 정리하자는 취지이지만 인터넷 자료를 무더기로 도용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 의원은 용역 내용을 직접 확인하며 “도용의 범위와 정도로 볼 때 문헌 조사나 현장조사는 이뤄지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며 연구용역이 비윤리적으로 진행되고 유사한 용역이 남발됐다고 지적하고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에 지난 4월 표절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도내·외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윤리조사위원회는 최근까지 표절여부를 검증했다.

위원들은 재단이 제공한 카피킬러 프로그램 결과를 바탕으로 700페이지 이상의 학술용역보고서를 전문 영역별로 나눠 세부적인 검증절차를 진행했다.

검증 결과 5명의 위원들은 ‘표절을 벗어나기 어렵다’라는 결론을 내놨다.

즉 다시 말해 ‘표절’이라는 것으로 위원들은 학술용역보고서의 상당부분이 주석, 인용, 참고문헌 등 기재 없이 인용됐다고 결론지었다.

이에 앞서 2015년에도 전북도 산하기관인 전북연구원이 표절 논란에 휩싸인바 있었다.

당시에도 도는 외부 인사 6명으로 검증위원회를 꾸려 연구 과제를 검증, 연구과제 112건 가운데 11건을 제외한 나머지가 다른 연구보고서와 유사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힌 바 있다.

이처럼 반복되어 온 산하기관들의 표절논란들이 당시에는 종지부를 찍곤 하지만 학술용역에 대한 표절 여부를 가늠할 가이드라인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표절 여부 검증절차가 없는 상황에서 반복된 표절 논란은 연구기관들의 공신력을 떨어뜨릴 수밖에 없고, 이는 종국에는 그 기관에서 내놓은 데이터를 어느 누구도 신뢰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이번 ‘학술용역에 대한 표절 검사 시스템 도입’으로 도 연구기관들의 표절이 근절돼 양적·질적 성장이 이루어지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