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소선거구제를 중대선거구제로 개편해야 한다는 주장이 개헌과 맞물려 야권 일각에서 제기되며 지역정가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현재의 소선거구제에서 중대선거구로 전환되면 전북은 현재 10개의 국회의원 선거구에서 2개 또는 3개 선거구로 나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전주권을 중심으로 양분되거나, 전주권과 동부권, 서부권 등으로 통폐합될 것으로 전망될 가능성이 높다.

도내 정가 일각에서도 전주권을 별도로 하고 동부권, 서부권으로 나누는 3개의 선거구제 재편설이 나오고 있다.

크게 △전주권 △완주, 진안, 무주, 장수, 임실, 남원, 순창 등의 동부권 △군산, 익산, 김제, 부안, 정읍, 고창 등의 서부권 등이 그 양상으로 회자되고 있다고 한다.

이런 개편 논의는 사실 개헌과 맞물려 불거졌다.

지난 4일 민주평화당 장정숙 대변인이 최근 민주당 소속 의원들의 문제를 지적하며 ”근본적인 문제는 소선거구제의 부작용이 다시 한 번 확인됐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장 대변인은 서울시의회의 예를 들며 민주당 득표율이 50% 수준인데 반해 전체  92%의 의석을 독식했다고 지적했다.

평화당측은 소선거구제의 민심 왜곡 문제와 개선 필요성이 이전부터 지적돼 왔고 특히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이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이라는 점을 들어 선거제도를 비롯한 정치개혁 입법 필요성을 강조했다.

앞서 자유한국당도 개헌 및 선거구제 개편을 촉구한 바 있다.

김성태 당 대표 권한대행은 “지난 해 5월 문재인 대통령은 선거구제 개편하면 모든 것 다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변혁을 이끌어내고 그 중심에 저희들이 서겠다”고 말했다.

평화당과 한국당 등 이념과 노선이 완전히 다른 두 야당이 선거구제 개편을 동시에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야권이 동상이몽식 입장을 갖고 있을 수 있지만 이처럼 선거구제 개편 요구는 앞으로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여권 일각에서도 소선거구제 개편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대통령 공약이기도 하고 오래 전부터 일당독식 구조를 깨기 위해선 중대선거구제 전환 필요성이 강조됐었기 때문.

이에 따라 민주당이 8.25 전당대회 대표 경선을 통해 친문 그룹을 중심으로 진영이 짜여질 경우 중대선거구제 개편이 추진될 가능성도 높게 점쳐지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