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조원이 넘는 빚더미에도 불구, 1200억 원이 넘는 호화청사는 짓는 계획을 세워 여론의 비난을 사고 있는 서울시교육청, 앞서서는 성남시가 3천억 원이 넘는 청사를 지었는데 준공 10개월도 안 돼 강풍에 곳곳이 뜯겨져 나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민원인들 발길이 뚝 끊긴 외딴 곳 덩그러니 나 홀로 세상을 만들어 놓아 도민들로부터 빈축을 산 경북도청은 청사건립에만 무려 3850억 원의 예산이 투입했다.

3200억 원을 들여 청사를 건립키로 한 충남도청의 경우 호화청사 논란을 불식 시키고자 기존 면적 5만9천㎡에서 2만㎡로 절반이상 줄이고 관사도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이 모두가 여론의 따가운 눈총 탓이다.

호화청사 논란은 사실 시민의 혈세를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는 공직사회에 경종을 울리는 일련의 사례라 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정말 청사가 필요한데도 시민의 혈세를 최대한 아껴보고자 노력하는 자치단체도 있다.

무턱대고 청사를 크게 짖고 보자는 우격다짐식 건설대신 택한 것이다.

전주시가 현장의 목소리에 더 다가가고자 ‘현장시청’이라는 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는 청의 협소한 공간 문제도 해결하고 현장의 목소리에 더 다가가고자 한 노력의 일환이다.

이는 “시청의 본질은 건물이 아닌 현장에 있다”는 김승수 전주시장의 평소 지론이 반영된 사업이기도 하다.

현장시정도 펼치고, 청의 협소한 공간 문제도 해소하고, 1석2조의 문제를 해결하는 자치단체의 모범적 사례가 아닌가 싶다.

현재 지난해 7월 성매매집결지 한가운데 현장시청 6호점인 ‘서노송예술촌팀’까지 만들어진 상황이다.

어떤 관공서의 경우 많은 공직자들이 아방궁 같은 대규모 건축물에서 근무하며 민원인들을 맞이한다.

그 곳을 찾는 민원인들은 건물이 주는 규모의 중압감에 먼저 주눅이 든다.

서민들이 범접 못하는 분위기에 먼저 기가 죽어 버리는 것이다.

우리가 내는 세금을 천금처럼 아낄 줄 아는 공직자와 단체장.

그들이 있는 도시야 말로 ‘품격의 도시’가 아니겠느냐는 생각이다.

여러 실험들은 이제 끝이 났다.

턱까지 찬 것이다.

이제 공직자들이 진정으로 시민들을 위해 노력할 수 있는 공간 확보를 위한 증개축과 인근 건물매입 등 시청사 부지에 대한 대책이 강구되어야하는 시점이라는 생각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