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과 조선소 여파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큰 듯하다.

한국GM과 현대중공업 군산공장 폐쇄 충격에 전북 인구 유출이 역대 최대치에 달했다는 보도가 나올 정도다.

조선과 자동차 산업 구조조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북과 울산지역 인구 유출 속도가 눈에 띄게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국내 인구이동’을 보면 지난 2분기 기준 전북의 순유출자가 2천625명을 기록, 지난 2006년 2분기 4천여 명이 줄어든 이후 그 규모가 가장 컸다고 한다.

시도별 순 이동은 조선·자동차 산업 구조조정 지역인 전북과 울산지역에서 순 유출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실제로 울산도 3천366명이 빠져나가 -1.2%의 순이동률을 기록했다.

이 역시 2분기 기준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97년 이후 가장 큰 폭이다.

이런 변화에는 전북 지역 산업의 침체가 어느 정도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7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문을 닫았고 한국 GM이 올해 5월 말까지 군산 공장을 완전히 폐쇄하면서 공장 폐쇄의 직접 영향권에 있는 군산시지역의 유출이 커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렇게 빠져나간 인구는 경기지역과 세종, 제주로 유입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순유출은 서울과 부산, 대전 등의 순으로 많았다고 한다.

전입이 전출보다 많은 시도는 6곳이었고 전출이 더 많은 곳은 11곳이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시도 내 이동자는 2.0% 증가, 시도 간 이동자는 2.5% 감소했다.

통상 6월은 다른 달과 비교해 인구이동이 덜한 달로 꼽히고 있어 전북지역의 순 유출은 더욱 커질 우려가 있다는 분석이다.

총 이동자 중 시도 내 이동은 68.0%, 시도 간 이동은 32.0%를 차지했다.

인구 100명 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이동률은 13.6%로 0.7%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이번 데이터를 분석해 보면, 군산과 울산, 모두가 자동차와 조선소를 기반으로 한 산업구조를 띄고 있는 지역이다.

즉, 한국GM과 현대중공업 조선소의 직접적 여파가 있던 지역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혹자들은 인구유출이 계속 지속되면 도시경쟁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는 만큼 이를 사전에 막기 위해 전북경제 체질을 바꿀 대체 보완 산업의 빠른 안착이 절실한 상황이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이쯤 되면 탈전북을 막기 위해 자치단체는 물론 정부차원의 대책이 이루어져야하며 선거 때만 반짝하고 나올 게 아니라 지속적으로 정치권의 강도 높은 목소리가 이어져야할 것이란 생각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