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는 적은 데 비해 상가는 넘쳐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보니 빈 상가들이 넘쳐나고 있다.

빈곤의 악순환, 그리고 지역 경기침체의 장기화는 전북지역의 상업용 부동산 공실률을 높이 끌어 올렸고, 급기야는 전국 최고 수준까지 다다르게 했다.

소규모 상가를 중심으로 공실률이 크게 증가한데다 중대형 상가 공실률도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특히 경기불황까지 겹치면서 상가 임대조차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어 임대료도 전년기보다 소폭 하락했다.

최근 들어서는 전주 신시가지를 중심으로 주상복합아파트가 지속적으로 들어서면서 아파트 내 상가 공실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2018년 2분기 투자수익률, 공실률, 임대료 등 임대시장 동향’에 따르면 전북지역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9.4%로 전분기 대비 1.7% 증가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공실률을 보였다.

무엇보다 전국 소규모 상가의 평균 공실률은 5.2%로 전북지역이 무려 4.2%나 높았다.

이는 대구(4.0%), 인천(3.6%), 울산(2.5%), 강원(3.4%), 제주(1.8%)지역보다 높은 수치라고 한다.

이처럼 공실률이 높은 것은 개발비용 충당을 위해 서부신시가지와 혁신도시 등 신규 택지개발 지구에 상업지역을 지나치게 많이 배정하거나 기존 업무용지를 상업지역으로 지구단위계획을 변경하면서 인구에 비해 상가가 넘쳐나기 때문이다.

전북은 전국적으로 가장 저렴한 임대가격인데도 공실률은 줄지 않고 있다고 한다.

중대형 상가 임대료도 ㎡당 1만5,400원으로 전분기(1만5,890원) 대비 떨어졌다.

전주 서부신시가지와 전북혁신도시를 중심으로 지나친 임대료 상승이 공실률 증가로 이어진 데다 경기침체와 인구 감소 가속화 등이 공실률을 높이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구도심 상권의 공실은 그야말로 심각한 수준이라고 한다.

구도심의 기존 상권이 빠져나가면서 임대료도 크게 줄어든 데다 건물 곳곳에서 빈 상가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또 구도심을 중심으로 임대료가 크게 하락하면서 전체 상업용 부동산 임대료도 하락된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는 적고, 그 적은 인구마저 해마다 감소하고, 상가 공급은 넘쳐나고 있는 악순환이 근절되지 않는 한 이런 전국 최고수준의 공실률은 당분간 계속되리란 생각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