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 모두가 염원하는 남북통일이다.

어떻게 보면 생에 한 번 볼 수 있을지도 모를 ‘통일’을 전제로 한 정상회담을 앞두고 여야는 초당적 협력은 고사하고 정치 프레임의 틀을 벗지 못하고 있다.

판문점 선언 비준 동의가 그랬고, 남북정상회담 방북 동행 문제가 그랬다.

더불어민주당과 평화민주당, 그리고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 등 정당 별 입장차가 극명하게 갈리는 것만 봐도 얼마나 정치 프레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지, 당리당략과 정쟁의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문희상 국회의장은 지난 3일 정기국회 개회사에서 국민의 72%가 판문점 선언의 국회 비준동의를 찬성하고 있다며 야당의 협조를 당부했다.

이 조사에 대해서도 미래당 지상욱 의원은 비준 동의를 단순히 이분법적으로 유도했다며 예산에 대한 검토와 논의를 배제한 설문이라고 지적했다.

사실 모든 반대가 그렇다.

그들은 말한다.

“우리는 무조건 반대하는 게 아니다”라고.

그들에게는 꼭, 반드시 무언가 그럴싸한 이유들이 있다.

반대의 전제가 되는 몇 가지 명분들.

그러나 그러한 것들은 사실 반대를 하지 않고서도 얻어질 수 있는 것들이 대부분인 경우들이 많다.

실제 한국당과 미래당이 비준동의의 반대로 시작된 방북행 거절의 핵심은 국민들의 안전을 담보로 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조치와 국가 안보다.

십수년간 우려먹고 있는 ‘국가안보’는 이번에 또 다시 들고 나왔다.

이번에도 한국당과 미래당은 “국민의 소중한 생명과 안전을 위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조치가 먼저 선행되지 않은 채 이뤄지는 비준동의는 진정한 평화 구축을 담보할 수 없다”고 밝히고 있다.

이번에도 ‘국민의 소중한 생명’이 볼모로 잡혔고, 그게 비준 동의 거절의 이유가 됐다.

비준에 반대하고 있는 마당에 방북행에 나설 수 없다는 것이다.

있는 자가 더 주며 달래가며 함께 가는 게 협상이고 인지상정이다.

그리고 만나야 대화도 이뤄지는 것이다.

비핵화든 안보든 만나서 이야기하고 논의해야 무엇이든 이뤄지는 것이다.

한치 양보도 없이 “너 반절, 나 반절” 하는 식의 협상으로는 절대 진전이 없다.

이번 방북길에서 대승적 협력은 없었고, 유아적 발상만 존재했다.

통일 앞에 그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

그렇다고 대승적 차원의 공개압박이나 일방통행을 강요할 수도 없다.

그러나 최소한 정치인들이 국민의 눈높이에는 맞춰야하지 않을까? 한국당과 미래당이 지난 지방선거의 패인을 너무 빨리 잊어버린 것은 아닌지 싶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