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지원-농림축산업 기술지원 재개
자원순환형 농축산 복합단지 조성 등
162억 투입 공공비축미-개성공단 주목
도내 개성공단 기업 7곳 재가동 기대
100대 국정과제 이산가족 정례화
도내 실향민 980명 화상상봉-영상편지
적십자회담 실무논의 열릴 가능성 커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전북의 남북 교류사업이 재개될지 주목된다.

개성공단에 입주했던 기업들은 재가동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고 실향민들은 이산가족 상봉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 대북사업 재개 가능성 높아 이번 평양공동선언은 지난 판문점 선언보다 한 발짝 더 나아갔다는 평가다.

이에 경협의 속도감 있는 진전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전북도는 남북 정상회담 이후 남북 관계가 풀리면 2004∼2007년처럼 자치단체 교류와 농림축산업 기술 지원이 재개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내다 보고 있다.

남북관계 변화 추세에 맞춰 시군과 대북지원 단체 등 의견수렴을 통해 남북교류협력사업을 발굴할 방침이다.

 전북도는 대북지원사업 2개(농업·축산지원사업, 자원순환형 농축산 복합단지 조성)와 신규 사업 1개(산림복합사업)를 두고 지원 가능 여부 등도 검토할 계획이다.

2016년 대북지원사업 추진을 검토했으나 북한 핵실험과 개성공단 중단 등으로 통일부가 사업승인을 불허해 성사되지 못했다.

해당 사업들은 축산의약품과 수의·방역 기술 지원, 북한 농축산 중점 경제개발구역에 양돈장을 신축하고 산림복원 기술을 이전하는 것들이었다.

 대북지원사업에는 총 162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사업자금은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조성한 남북교류협력기금 89억 원(도 40억 원, 시군 49억 원)을 활용할 방침이다.

전북도는 2004년부터 2007년까지 농기계와 축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북한에 33억2600만 원을 지원했다.

따라서 이번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남아도는 공공비축미를 북한에 보내고 개성공단 가동도 재개될 지, 주목된다.

▲ 개성공단 입주민들 기대감 전북도내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재가동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전북에는 개성공단 입주기업이 전주에 5곳, 익산 1곳, 김제 1곳 등 7곳이 있다.

개성공단에 입주했던 한 기업 대표는 “회사제품이 중국에서 인기리에 팔리고 있는 상황이어서 중국과 가까운 개성공단이 하루빨리 열렸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개성공단에서 섬유업체를 운영했던 또 다른 한 기업인도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됐을 때부터 개성공단에 다시 돌아갈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지고 있었다"면서 이번 합의를 크게 반겼다.

 개성공단이 다시 열릴 때를 대비해 자금과 설비 인력 등을 준비하고 염두에 두고 있었다며 빠른 시일 내 다시 가고 싶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그러면서도 결국 유엔제재 미국의 대북제재가 해소 되어야만 갈 수 있다고 보고,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실향민들 기대감과 조바심 교차실향민들은 회담에 큰 기대를 표시하면서도 과거 사례에 비추어 북한의 속내를 알려면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남과 북의 정상이 만난다는 사실이 아직도 믿기지 않는 눈치다.

그럼에도 순조로운 남북정상회담에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에 기대감이 모아지고 있다.

정부 측은 이산가족 상봉은 북측과 충분히 공감대를 이룬 사안이라고 밝혀 상설 면회소 설치나 화상 면회, 가족 면회 정례화가 추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19일 전북도에 따르면 도내에 거주하는 실향민은 980여명으로 지난달 열린 이산가족 상봉행사에서는 한 명도 상봉 기회를 얻지 못했다.

따라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이 날 ‘9·19 평양공동선언’을 통해밝힌 상설면회소, 화상상봉 등 이산가족 상시 만남 제도화에 이목이 쏠려있다.

두 정상은 “남과 북은 이산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인도적 협력을 더욱 강화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상설면회소 개설과 화상상봉 등 구체적인 내용도 선언문에 언급됐다.

선언에는 “남과 북은 금강산 지역의 이산가족 상설면회소를 빠른 시일 내 개소하기로 했다.

적십자 회담을 통해 이산가족의 화상상봉과 영상편지 교환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해나가기로 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산가족 신청자의 전면적인 생사 확인과 상봉 정례화는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7월 발표한 100대 국정과제 가운데 하나다.

대선공약이기도 했다.

이에 상설면회소 상시 운영, 화상상봉, 영상편지 교환을 위한 적십자회담 등 실무 논의는 조만간 열릴 가능성이 크다.

더욱이 대북제재와 무관한 인도적 문제라는 점에서 정치적 부담도 덜 하다.

이산가족 상봉은 지난 2000년 6.

15 남북공동선언을 계기로 시작됐다.

하지만 남북 관계가 악화되면 무산되는 등 부침도 있었다.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를 위해 2005년 시작한 화상상봉 역시 2008년 이후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중단됐다.

전북도 관계자는 "지난달 전북에서는 이산가족 상봉자가 단 한명도 포함되지 않아 안타까웠다"면서 "상설면회소가 개설되면 보다 많은 이산가족들의 상봉이 추진돼 한을 풀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