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과 북의 두 정상이 새로운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여러 실천적 대책을 담은 ‘9월 평양공동선언’에 전객 합의 했다.

특히 김정은 위원장은 문 대통령의 초청에 따라 가까운 시일 내 서울에 방문키로 합의했다.

두 정상은 이번 선언을 통해 최대 관심사인 한반도 비핵화와 관련, 북측이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 하에 우선 영구적으로 폐기키로 했다.

또 북측은 미국이 6.12 북미공동성명의 정신에 따라 상응조치를 취하면 영변 핵시설의 영구적 폐기와 같은 추가적 조치를 계속 취해 나갈 용의가 있다고 표명했다.

이와 함께 양 측은 비무장지대를 비롯한 대치지역에서의 군사적 적대관계 종식을 한반도 전 지역에서의 실질적 전쟁위험 제거와 근본적 적대관계 해소로 이어나가기 위해 이번 회담을 계기로 체결한 ‘판문점선언 군사분야 이행합의서’를 평양공동선언의 부속합의서로 채택하고 이를 철저히 준수키로 했다.

또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사업도 우선 정상화하고 서해경제공동특구 및 동해관광공동특구를 조성하는 문제도 협의키로 했다.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안들이 속속 등장했다.

무엇보다 분단이래 첫 북측 최고지도자가 서울을 방문키로 약속했다.

그야말로 이래적인 진전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이런 진전에도 불구, 야당의 논평은 매몰차다.

자유한국당 윤영석 수석대변인은 “지난 1, 2차 회담에서 한 발짝도 나가지 못했다”고 폄하했고, 김병준 비대위원장은 한 술 더 떠 “오히려 1·2차 선언보다 후퇴했다.

북한 핵은 그대로인데 우리의 군사적 부분은 무력화했다”고 평가 절하했다.

김성태 원내대표는 “북한은 핵을 꼭꼭 숨겨 놓고 있는 데 우리는 모든 전력의 무장해제를 해버리는 결과를 만들어 냈다”고 가세했다.

바른미래당도 “비핵화에 대한 구체적 진전이 없었다”며 회의적 평가를 내놓기는 마찬가지였다.

손학규 대표는 “‘태산명동에 서일필’이라고, 잔치는 요란했지만 정작 먹을 건 별로 없었다”고 힐난했다.

그는 “핵무기도, 핵위협도 없는 조선반도라는 표현은 조선반도 비핵화라고 하는 기존 입장의 반복에 지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야당은 이번 두 정상의 만남에서 어느 정도 강도의 소득을 원했던 것이었을까? 야당이 여당이던 시절.

즉 이명박, 박근혜 두 명의 전직 대통령 시절엔 그야말로 북한과 한치 앞도 나아가지 못했던 단절의 시대였다.

과연 야당의원들이 여당의 자리를 꽤 차고 있던 시절 보여주었던 대북의 자세는 무엇이었고 성과는 무엇이었던가를 상기한다면 감히 오늘의 두 정상의 만남에 대해 왈가왈부할 수 있는 자격이 있을까? 정쟁의 시선이 아닌 최소한 국민의 눈높이에서 두 정상의 만남을 바라봐 주길 당부하고 싶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