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도 빠른 데다 수명도 결코 길지 않은 전북.

물론 비산술적 데이터인데다 일부에 적용되는 내용이지만 21세기 전북의 부정적 자화상이 그려질까 두렵다.

최근 통계청의 데이터는 이런 잘못된 이미지를 심어주기에 충분하다.

우리나라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고령화가 가장 빨리 진전될 것으로 예상된 가운데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생존하는 도민 '건강수명'은 전국에서 경남에 이어 최하위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특히 고창군의 경우 시군별 조사에서 경남 하동군, 경남 남해군 순으로 건강수명이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성남 분당구와 서울 서초구, 용인 수지구는 건강수명이 가장 높았다.

최근 발표된 통계청의 '고령자의 활동제약과 건강수명'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35개국 중 고령화가 가장 빨리 진전될 것으로 예상됐다는 것.

우리나라의 80세 이상 초고령 인구 비중은 2015년 2.6%에서 2050년 14.0%로 4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통계청은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20% 표본조사를 활용해 65세 이상 고령자의 활동제약과 돌봄 유형, 건강수명을 살펴본 결과, 여성이면서 교육수준과 자가 비중이 낮을수록 활동제약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65세 이상 활동제약자는 혼자 살면 돌봄을 받지 못할 확률이 높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85세 이상은 여성이면서 연령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돌봄을 받지 못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활동제약자는 가족이 돌보는 비중이 40.0%이며, 간호·수발자가 돌보는 경우는 8.8%, 간호가 필요하나 돌봄이 없는 경우는 12.2%, 간호가 필요 없는 경우는 30.3%였다.

치매 등 정신적 제약의 경우 가족이 돌보는 비중이 낮았고, 도시지역은 간호·수발자, 비도시지역은 가족 돌봄에 의존하는 비중이 높았다.

지역별 기대수명은 서울, 제주, 경기가 가장 높았고, 건강수명은 서울, 대전, 경기 순.

반면, 하동군, 고창군, 남해군, 신안군, 태백시 등은 건강수명이 가장 낮은 축에 속했다.

이는 대도시와 농촌간 뚜렷한 격차를 보여주는 유의미한 데이터가 아닌가 싶다.

이는 다시 말해 정부의 각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반증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