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환경단체가 녹조 현상 만연, 야생동물 사체 방치 등 구멍 뚫린 용담호 상수원 관리를 위해 민관협력기구 구성해 적극 보완해 나갈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15일 보도자료를 통해 “용담호 상수원 관리에 빨간불이 켜졌다.

일부 구간이긴 하나 녹조가 사라지지 않고 수면에 고라니 사체가 방치될 정도로 수변 구역 관리와 부유 쓰레기 처리가 엉터리다.

눈에 보이는 오염원도 처리를 못 하면서 용담호가 1급수라고(TOC기준 1급수, COD기준 2급수)라고 강변한들 어느 누가 믿겠냐?”면서 “어떤 시민이 안심하고 수돗물을 마시겠는가? 결코, 집중호우로 예년의 8배 이상인 5000㎥의 부유물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일시적인 부작용으로 치부해서는 안될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3년간 용담호 수질은 정체 상태로 유역 전체 오염원 발생량의 95%를 차지하는 축산 및 토지계의 비점오염원을 줄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비점오염원은 배출지점이 유역 전체에 걸쳐 있어 관리가 어렵고, 일정한 처리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면서 “주민들의 적극적인 노력과 참여, 적절한 예산 지원도 필요하고 상수원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를 계기로 용담호 유역의 빗물오염원 저감과 수변구역 관리가 제대로 되도록 따져 보고, 오염 배출량이 많은 진안천 구간은 상수원보호구역에 준하는 집중관리 구역으로 지정 관리 및 금강 환경지킴이, 용담호수질감시원의 운영 체계에 문제가 있는지도 집중점검이 이뤄져야 한다”고 피력했다.

아울러 “용담댐은 환경단체와 주민들이 주도하는 수질감시 컨트롤타워가 없다. 담수 초기 운영되던 민관학 거버넌스 기구 ‘용담댐 수질보전협의회’가 해소된 이후 이를 대체할 기구가 구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일상적인 수질 변화 모니터링과 실천 사업, 연구조사를 통한 구체적인 오염원 저감 방안 마련 등을 지속적으로 전개키 위해선 용담호 수질보전 협력기구가 결성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와 함께 “진안군과 수자원공사 용담댐관리단의 허술한 상수원 관리의 개선 대책이 세워지지 않는다면 자율관리 시스템은 기능을 하지 못한다고 의심받을 수밖에 없다.

주민자율관리 체제를 유지하려면 실효성 있는 법과 제도가 뒷받침돼야 한다”며 “물이용부담금을 재원으로 하는 상류 주민지원기금도 상수원보호구역에 준하는 수준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주민자율관리제’를 제도화할 것”을 촉구했다.

/정병창기자 woojuchang@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