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신도시 중심 스마트빌리지
도농복합도시 시범 조성 제안

전북에 ‘스마트 빌리지 조성’과 ‘아시아 스마트 빌리지 연구센터’를 건립, 광역도에 걸맞게 스마트시티 신모델의 선도지역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스마트 빌리지는 대도시·신도시 중심의 스마트시티 정책의 대안으로 농어촌 지역의 자산과 잠재력을 바탕으로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만들어 지속가능한 농어촌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전북연구원은 23일 이슈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세계사례도 발표했다.

실제 유럽연합은 지난해 ‘EU Action for Smart Village’를 통해 인도 정부도 2014년 스마트시티 조성과 함께 인구의 60% 이상 거주하는 스마트 빌리지 조성계획을 함께 발표한 바 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의 당초 스마트시티 조성 목적은 국가균형발전이었지만 지금의 정책 흐름은 수도권과 광역시 중심이고 설명하고 있다.

이에 지역문제해결 보다는 드론과 자율주행 등 신기술 실증에 치중되어 국가균형발전 목적이 퇴색됐다는 주장이다.

대규모 국가 예산이 지원되는 스마트시티 선정지역 역시 부산, 세종, 대구, 경기 등 광역시 또는 수도권이다.

또 스마트시티형 도시재생 선정지역도 광역시와 수도권이 전체 70%를 차지하고 있어 이 같은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연구원은 국가전체가 고르게 잘 사는 스마트시티의 정책 수단으로 농촌과 도농복합도시에 어울리는 스마트 빌리지(Smart village)를 전라북도에 시범 조성 할 것을 제안했다.

아울러 스마트 빌리지 관련 정책과 기술 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아시아 스마트 빌리지 연구센터’ 설립도 제시했다.

  체계적 연구가 이루어지면 단기적으로는 동남아와 아프리카 등에 스마트 빌리지 모델을 수출하고, 중장기적으로 남북경협 시대를 맞아 낙후된 북한 도시와 농촌 디지털화를 전북이 선도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전북연구원 이지훈 박사는 “국가적 스마트시티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기술이 아닌 지역주민, 시티가 아닌 국토 전체적 관점으로 정책적 시각을 돌려야 하며, 이를 위해 정부는 광역지자체를 진정한 파트너로 삼아야 한다”라며 광역도 단위의 정책 전환 필요성을 거듭 주장했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