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제도가 현행대로 이어지느냐 아니면 중대선거구제 또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로 변하느냐에 따라 중앙과 지역 선거구도가 획기적 변화가 이루어질지 관심이다.

최근 국회가 정치개혁특위를 24일 정식 가동, 선거제도 개편과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에 대한 정가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개특위는 선거제도 개편을 핵심으로 공직선거법, 정당법 개정 등을 논의하게 된다. 이 중 가장 관심을 끄는 건 뭐니뭐니해도 선거제도 개편이다.

현행   소선거구제로는 민의, 표심을 그대로 반영할 수 없고 지역주의 선거 성향이 이어져 지역 화합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많기 때문이다.

선거구제 개편은 20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을 지낸 정세균 의원이 국회의장 취임과 동시에 선거구제 개편을 포함한 개헌론을 강조하면서 본격화됐다.  

이후 올 들어 민주평화당  전당대회에서 대표로 선출된 정동영 의원이  선거구제 개편을 취임 일성으로 강조하면서 물꼬가 터졌다.

이에 화답하듯 문재인 대통령도 선거구제   개편에 대해 긍정적 입장을 표명했다.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 등 주요 야권은 선거구제 개편을 적극 지지하고   있는 상태다. 그러나 올 연말까지인 정개특위 활동 시한을 감안할 때 정개특위가 선거구제 개편에 합의할 것인지는 미지수. 각 정당의 당론이 어느 정도 일치돼야 선거구제 개편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할 수 있어서다.

문제는 정개특위 내 각 당 소속 위원들이 선거제도 개편에  긍정적이더라도 결국 결정권은 당 지도부가 갖고 있기 때문에 지도부의 최종 입장을 지켜봐야 한다.

전북은 선거구제가 개편될 경우 현재 소선거구제에서 3~4개 정도의 중대선거구로 변화될 가능성이 크다.

현행 10개의 지역선거구이지만   21대 국회의원 총선에선 다양하게 나눠질 수 있다.

주요 시민사회단체들은 정개특위가 선거제도 개편 특히 연동형 비례대표제 논의에 들어가야 한다고 강력히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논의가 선행되지 않으면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 논의도 졸속으로 처리될 우려가 높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정개특위 첫 회의에서 심상정 위원장은 국민들을 골고루 대변하는 ‘민심그대로 국회’를 만들어 성숙한 대의민주주의로 나갈 수 있는 초석을 놓자며 특위 가동의 당위성을 설명하기도 했다.

심 위원장의 말대로 이번 선거제도의 획기적 변화를 통해 과연 말 그대로 ‘민심 정치’를 보여줄 수 있을지 국민들의 눈과 귀가 쏠려  있음을 국회는 상기해야할 것이란 생각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