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공방으로까지 비화됐던 전북대 총장선거.

처음으로 치러진 직선제 투표다 보니 재학생 투표권 비율을 놓고 학교가 들썩였다.

그 와중에 교수와 학생, 교직원 등 학내 구성원간 갈등이 심화되며 여론의 스포트라이트를 한 몸에 받았던 선거가 아니었나 싶다.

그야말로 우여곡절 끝에 전북대학교 제18대 총장이 탄생한 것이다.

선거도 쉽지 않았다.

3차까지 가는 접전 끝에 김동원 교수가 56.

84%를 얻어 41.

10%를 득표한 직전 총장이었던 이남호 후보를 누르고 1순위 임용 후보자로 선출됐다.

2차 투표까지 줄곧 1위를 달리던 이남호 후보가 막판에서 뒤집어 진 이유에 대해 대다수 학내 구성원들은 ‘반(反)이남호’ 전선이 형성되며 막판 세규합이 이뤄진 데 따른 결과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김 당선자는 “대학 내 7대 적폐청산을 수행하고, 분권형 단임제를 정착시키는 데 최선을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당선 소감을 밝혔다.

김 당선자는 선거기간 동안 ‘분권, 공감, 융합’을 기치로 ‘분권형 단임제’와 ‘대학 내 적폐청산’을 공약으로 설정해왔다.

이밖에도 효과적인 분권을 위해 학칙이나 규정의 재개정을 통해 권한을 분산시키고, 견제와 균형을 바탕으로 대학운영체제를 구축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당선자가 당선소감에서 밝힌 첫 번째 일성이 분권형 단임제 정착이다.

이는 다분히 출마자 중심적 시각인데다 단임제 약속을 저버리고 연임의사를 밝혔던 직전 총장을 의식한 선거 기간 중 캐츠프레이즈의 성격이 짖다.

단임제가 꼭 폐단만 있는 것은 아니다.

여러 장점도 있다.

당선과 함께 그 일성으로 내놓기에는 왠지 부족해 보인다.

다분히 출마자를 위한 출마자적 시각이 아닌가란 생각이 든다.

총장을 한번 하고 두 번 하는 것은 대학 교수나 출마자들에게나 중요한 것이지 대학 구성원들은 한번 하던 두 번 하던 대학을 제대로, 잘 운영하는 사람이 더 중요하다.

국립대학의 총장은 장관급이다.

도에 1명뿐인 존재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인물이다.

그런 점에서 지역사회 대학의 역할과 지역사회 공약도 일정부분 나와 주어야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아쉬움도 있다.

김 후보는 대학 내 적폐청산을 공약으로 설정했다.

적폐는 항상 기득권과 함께함을 잊지 말아야 하며 그 기득권 세력은 학내 힘 있는 세력들에게 있다.

그들은 늘 총장 주변에 있다.

적폐를 청산하기 위해서는 늘 ‘읍참마속’을 단행할 마음의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

학내 산적한 숙제들을 하나하나 풀어가기 위해서는 이런 마속들의 목을 수없이 베어내야 하는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