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치권에서 선거제도 개편 이슈가 재 점화 되면서, 전북지역 정가도 `승자'가 모든 권력을 독식하는 현행 선거구제를 대신할 새로운 제도가 도입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선거제도가 변하면 1년 6개월 남아있는 국회의원 총선거 대결 구도에도 이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지역 정가에서는 현재 논의가 시작된 연동형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현실화될지 여부다.

제도 도입 시 도내에서도 오랜 기간 지속된 민주당과 평화당 구도가 3개 정당 이상의 다당제로 재편될 수 있다.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 정의당 등을 중심으로 여야 정치권 내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에 긍정적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는 이유다.

문제는 거대 양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제도 도입에 미온적이라는 데 있다.

민주당과 한국당은 제도 도입시 소수 정당의 의석 점유가 현재보다 늘어나 상대적으로 거대 양당의 의석수가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내 현역 의원들과 총선 입지자들 역시 각 선거제 개편 시나리오에 따른 유불리 분석이 일찌감치 이뤄지고 있다.

계산도 복잡하다.

최근 들어 투표성향을 종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총선에서는 평화당이 표밭을 싹쓸이한 반면, 지방선거에서는 완패한 이후, 다음 총선 판세는 더욱 읽기 어려워졌다는 게 지역 정가의 분석이다.

도심과 농어촌 지역 등 지역특성에 따른 의원간 의견도 서로 엇갈리고 있다.

선거구제가 개편될 경우 전북은 현재 소선거구제에서 3~4개 정도의 중대선거구로 변화될 가능성이 크다.

현행 10개의 지역선거구이지만 21대 국회의원 총선에선 다양하게 나눠질 수 있다.

도내 시민사회단체들은 정개특위가 선거제도 개편 특히 연동형 비례대표제 논의에 들어가야 한다고 강력히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논의가 선행되지 않으면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 논의도 졸속으로 처리될 우려가 높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정개특위 첫 회의에서 심상정 위원장은 국민들을 골고루 대변하는 ‘민심그대로 국회’를 만들어 성숙한 대의민주주의로 나갈 수 있는 초석을 놓자며 특위 가동의 당위성을 설명하기도 했다.

심 위원장의 말대로 이번 선거제도의 획기적 변화를 통해 과연 말 그대로 ‘민심 정치’를 보여줄 수 있을지 도민들의 눈과 귀가 쏠려 있다.

도내 정가 관계자도 “차기 총선까지 1년6개월이 남아 있기 때문에 논의와 결단을 위한 시간은 충분하다고 본다”며 “선거제도가 변하면 도내 대결 구도에도 큰 변화가 예상돼 기대감이 크다”고 말했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