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7기 전주시가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1000만 그루 나무심기 프로젝트가 보다 현실성 있게 추진되기 위해 보다 면밀한 계획이 세워져야할 것으로 보인다.

한쪽에서 나무를 심고 있는 데 다른 한쪽에서는 녹지를 통으로 없애는 엇박자 행정이 벌어지는가 하면 기존에 심어진 나무들 보전하는 일에는 소홀해 하는 것으로 지적받고 있기 때문이다.

1000만 그루라는 나무를 심기 위해선 그에 수반되는 인력이나 예산들이 필요할 텐데 그런 제반 사항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것으로 문제로 지적됐다.

서난이 전주시의회 의원은 최근 열린 정례회에서 “전주시가 미세먼지 걱정으로부터 자유로운 도시, 시원한 도시로 만들겠다며 추진하고 있는 천만그루 나무심기가 나무심기에만 급급한 채 유지관리 계획은 전무, 현실성이 결여돼 있다”고 주장했다.

서 의원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2300만 그루 나무심기에 대한 현황 파악이 부족한 데다 천만그루 나무심기 정책이 2026년까지 진행되면서 통상적으로 1년에 125만 그루를 심어야지만 내년 예산은 동결됐고, 인력 추가배치도 전무하다고 지적했다.

뿐만 아니라 45억 원의 나무심기 예산 중 유지관리비는 반영되지 않았다며 시의 천만그루 나무심기 정책의 허점을 꼬집었다.

서 의원은 기존에 식재된 300만 그루의 나무가 어떤 상황인지 파악여부를 물었고, 여름철 폭염으로 보호수와 노거수 118그루의 생존도 위협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마디로 기존 나무도 제대로 챙기지 못하면서 무슨 천만 그루 나무냐는 질책인 것이다.

추가로 나무를 심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미 식재된 나무를 보존하는 것도 심는 것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지적인 셈이다.

그는 또 도시공원 일몰제를 앞두고 전주시가 2035년 도시기본계획안을 통해 가련산공원, 덕진공원(건지산), 천잠공원, 인후공원 등 4개 도시공원을 ‘민간공원 조성 특례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이 4개 공원이 민간특례사업으로 진행될 경우 도시공원의 150만㎡가 추가로 사라지고 400만㎡의 보전녹지가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설명했다.

결국 한 부서에서는 열심히 나무를 심고 또 다른 부서에서는 녹지를 통으로 없애는 일을 하고 있는 셈이다.

한마디로 ‘엇박자 행정’이라는 지적이다.

기존 식재된 나무의 보존과 관리, 예산과 인력의 확보, 엇박자 행정의 지양 등 천만그루 프로젝트에 대한 서난이 의원의 지적은 전주시 담당 공무원들이 이 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 특히 귀담아 들어야할 부분이 아닌가 싶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