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의 동지가 오늘의 적으로 돌변했다.

내년도 국가예산 확보를 위해 그동안 줄곧 전북 단일팀으로 활동했던 도내 정치권이 예산전쟁이 끝나자마자 다시 대결구도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본보는 ‘예산팀웍 끝나자 선거개혁 으르렁’ 제하의 기사를 정치면 톱으로 다루며 현 전북 정치권의 상황을 묘사했다.

야권발 정계개편, 선거제도 개편과 같은 핵심 정치 현안을 놓고 사활을 건 전쟁에 돌입한 것이다.

여야 3당과 무소속 국회의원이 혼재해 있는 전북 정치권은 지난 8일 새벽, 국가예산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기 전까지는 한 팀을 이뤘다.

집권 더불어민주당은 물론 도내 지역구 의원 5명을 보유한 민주평화당, 국회 제3당인 바른미래당 그리고 무소속 이용호 의원에 이르기까지 전북 예산 확보에 모든 힘을 쏟았다.

이 과정에서 전북도와 정치권은 수차례 긴급회동하고 지역 현안 및 예산 활동에 주력해 7조원대 확보라는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예산 통과 이후 도내 정치권은 다시 대립 구도로 들어갔다.

당장 내후년에 치러지는 20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위해선 지금부터 지역 활동 및 표심잡기 경쟁을 펼쳐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민주당의 공고한 지지율을 깨기 위한 야권의 공세가 강해지면서 연말 도내 정가에는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더욱이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와 정의당 이정미 대표가 단식투쟁을 계속하면서 ‘연동형 비례대표제’ 전환을 위한 선거제도 개편 문제가 정치 최대 화두로 부상했다.

하지만 민주당과 한국당 등 거대 여야 정당이 연동형 비례대표제 전환에는 사실상 부정적 입장이어서 민주-한국당과 야3당간 조율점을 찾기가 쉽지 않은 상태.

여기에다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는 당 대표 취임 이후 줄곧 선거제도 개편을 주창해 왔다는 점에서 현 시점에선 ‘퇴로’가 없는 상황이다.

정 대표는 국민이 민심그대로의 선거제도 개편을 요구하고 있다며 민심과 함께 하겠다는 각오를 이어가고 있다.

이 때문에 평화당이 어떤 방향으로 선거제도 개편 흐름을 이끌어낼지 정 대표의 정치력이 주목되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야권발 정계개편설도 지역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한국당 원내대표 경선과 내년 2월로 예상되는 전당대회를 전후해 야권, 특히 보수권 성향 정당의 통폐합, 이합집산이 이뤄진다면 이에 따라 진보중도 층도 정계 재편에 휩싸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복잡한 정당-정파로 나눠져 있는 전북 역시 큰 영향을 받게 되기 때문이다.

이런 때 일수록 믿을 건 지역주민의 표심밖엔 없는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