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취업자 41만 2천명
총인구 60.2%만 경제활동

도내 중·중년층 취업자 비중이 전국평균을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중·장년층의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의미로, 이에 청년 일자리뿐만 아니라 중·장년층 맞춤형 일자리 확대 정책도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18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7년 기준 중․장년층 행정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총인구 179만2천명 중 중·장년층(40~64세) 인구 비중은 38.2%(68만4천명)였다.

2016년 중·장년층 인구는 68만1천명으로 총인구(180만2천명)의 37.8%를 차지한 것에 비해 0.4%(3천명) 정도 소폭 증가한 수치다.

이들 중 지난해 10월 기준 행정자료 상 일자리를 가진 중·장년 등록취업자는 41만2천명으로, 중·장년 총인구(68만4천명)의 60.2%만이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2016년에는 68만1천명 중 40만4천명(59.2%)이다.

이를 17개 시·도별로 살펴보면, 도내 중·장년층의 취업자 비중은 2016년과 2017년 모두 전국평균을 밑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17개 시·도 중 중·장년층 취업자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세종(67.2%)이었으며, 경기(63.8%), 제주(63.7%), 대전(63.1%), 울산(63.0%) 등도 상위권에 속했다.

반면, 전남이 56.8%로 가장 낮았으며, 경북(58.2%), 부산(59.3%), 대구(59.9%), 전북 등은 하위권에 속했다.

이는 그만큼 고용여건이 나아지지 않으면서 중·장년층의 일자리 역시 부족하다는 의미로 풀이, 특히 전북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한국GM 군산공장 등의 연이은 악재로 인해 고용시장이 급속히 얼어붙으면서 중·장년층의 일자리가 더욱 축소된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중·장년층 중 40~50대는 지역 경제의 허리로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이들이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시급, 이에 중·장년층 맞춤형 일자리 정책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김성아기자 tjddk@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