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의 허리’로 불려지는 40~50대 중·장년층들이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이들이 불안함이 계속되면 우리 사회도 안정을 찾지 못하고 불안해 진다.

중장년층이 불안한 사회가 과연 안정적인 사회일까? 도내 중·장년층 취업자 비중이 전국평균을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소식이다.

이 말인즉슨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중·장년층의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의미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본보는 이를 지적하며, 청년 일자리뿐 아니라 중·장년층 맞춤형 일자리 확대 정책도 강화돼야 한다는 진단을 내놓았다.

이는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기준 중․장년층 행정통계’에 따르는 내용이다.

조사결과 지난해 도내 총인구 179만2천명 중 중·장년층(40~64세) 인구 비중은 38.2%(68만4천명).

2016년 중·장년층 인구는 68만1천명으로 총인구(180만2천명)의 37.8%를 차지한 것에 비해 0.4%(3천명) 정도 소폭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이들 중 지난해 10월 기준 행정자료 상 일자리를 가진 중·장년 등록취업자는 41만2천명으로, 중·장년 총인구(68만4천명)의 60.2%만이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2016년에는 68만1천명 중 59.2% 40만4천명(59.2%)이었다.

이를 17개 시·도별로 살펴보면, 도내 중·장년층의 취업자 비중은 2016년과 2017년 모두 전국평균을 밑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17개 시·도 중 중·장년층 취업자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세종(67.2%)이었으며, 경기, 제주, 대전, 울산 등도 상위권에 속했다.

반면, 전남이 56.8%로 가장 낮았으며, 경북, 부산, 대구, 전북 등은 하위권에 속했다.

이는 그만큼 고용여건이 나아지지 않으면서 중·장년층의 일자리 역시 부족하다는 의미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특히 전북의 경우,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한국GM 군산공장 등 연이은 악재로 고용시장이 급속히 얼어붙으면서 중·장년층의 일자리가 더욱 축소된 것으로 분석됐다.

중·장년층 중 40~50대는 지역 경제의 허리로 분류되는 세대다.

때문에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 또한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만큼 이들이 우리 사회에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그만큼 우리 사회가 안정적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말이다.

경제의 허리인 이들이 안정화를 되찾을 수 있는 길은 결국 우리사회의 안정을 되찾는 길이다.

청년 일자리에 매몰되어 있는 현 정책에 한발 더 나아가 중장년층들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에도 신경을 써 우리사회가 건강한 방향으로 정책을 펼쳐나갈 수 있기를 희망해 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