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논리 접근땐 수도권쏠려
포항제철 등 공급이 수요창출

유커탈피 태권도-동남아 확대
대규모 관광객유치 공항 필요

승용차 27만대 생산능력갖춰
상반기내 해법찾도록 노력을

4.새만금 국제공항 "공급이 수요를 창출"한다는 법칙 적용해야

문재인 정부는 새만금을 ‘환황해권 경제 거점으로 육성시키겠다는 포부를 드러낸 바 있다.

새만금 개발의 성공 여부가 국제공항 시설 인프라 구축 등 교통 접근성을 높이는 데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기업들이 몰려오는 새만금을 경제와 산업, 관광을 위한 동북아 경제허브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국제공항 개항이 시급한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 같은 빅플랜을 성공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라도 국제공항은 필수요건이 됐다.

실제로 우리나라 현 상황은 공항 없이 광역경제권 논리가 설립될 수 없는 구조라는 것.

세계화 시대에서 하나의 단일 경제권 형성을 위해서는 공항이 필수 인프라가 돼 버렸다.

특정지역에만 있다는 것 자체가 균형발전을 막는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전언이다.

포항제철과 광양만, 경부고속도로 등의 사업부터 김대중컨벤션센터, 무안공항 등도 수요가 있어 추진한 사업들이 아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공급이 수요를 창출하기도 한다'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수요논리만 앞세운다면 기득권에만 유리한 상황이 만들어지고, 결국 균형발전 토대도 구축되기 힘들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게다가 전북은 2023년 세계잼버리대회를 앞두고 이미 수요가 잡혀있는 실정이다.

전세계 4만명 이상의 스카우트 대원들과 그 가족들의 원활한 수송을 위해서 정부와 전북도가 잼버리 대회 유치 과정에서 약속한 부분이기도 하다.

새만금 국제공항 개항이 늦어지면 수만 명이 인천에서 4시간씩 버스를 타고 이동해야하는 어려움이 예상된다.

특히 국제 스카우트 대원 85%는 아시아권이다.

이들이 인천 공항을 통해 부안을 온다면 비행시간 보다 국내에서 버스 이동 시간이 훨씬 더 길게 된다.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격으로 시간적·경제적 낭비가 굉장히 크다.

잼버리 참가자들, 특히 아프리카 등 저개발국가의 경우 전세기를 동원해 전북을 찾을 가능성도 크다.

이들은 인천과 청주 등 다른 국제공항 이용시 슬롯(시간당 항공기 이착륙 횟수) 조정이라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전북도가 주장하는 새만금 국제공항 조기 개항은 완전 개항이 아닌 일부 활주로라도 만들어줘야 한다는 것이다.


5.전북 내도 관광객 확대 필요

전북은 고용없는 시대에 다른 산업에 비해 일자리 창출과 경제적 파급 효과가 높은 관광 산업을 지속가능한 수준으로 성장시켜 왔다.

최근에는 전북 지역에 안정적이면서 양질의 일자리 확대는 물론 지역 경제의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한 방안 마련에 힘을 더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전국 자치단체들이 내국은 물론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힘을 모으고 있으나 중국인 관광객들이 예년만큼 몰리지 않아 전북도의 조속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2017년 사드 여파로 중국인 관광객 등 외국인 관광시장이 침체에 빠져들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대만과 일본 관광객 유치에 나서고 있으나 전북에 공항이 없어 무안공항 이용객 일부를 유인하고 있는 실정이다.

각 자치단체들이 현지 설명회와 초청 팸투어, 전세기 운항 등 다양한 마케팅 수단을 동원, 대규모 외국인 관광객 잡기에 본격적으로 뛰어 들었다.

대표적으로 무안공항이 서남권 거점공항이 되면 중국과 동남아 관광객을 유치하고 전북, 충청권 여행객까지 흡수했다.

경북도와 부산시 등도 공격적으로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나서고 있고, 대구시는 200만 외국인 관광시대를 맞이하겠다며 손님준비에 분주하다.

전북도는 태권도인 등 해외관광객 유치를 위해 태권도 연계 관광상품과 인지도 제고를 위한 홍보마케팅 강화 등 차별화된 전북형 특화관광 상품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하지만 공항·항만 등 관광인프라시설이 미흡한데다, 대규모 중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맞춤형 유치전략도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효과는 미지수다.

도내 관광분야 전문가들은 “전북도가 대규모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유치전략이 필요한데 아직은 플랜이 정해진 것 같지 않다"면서 "장기적으로 끌고가기 위한 컨트롤 타워도 하나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6.군산GM 등 군산권 경제회생 주력

한국GM 군산공장 부지 활용 방안이 지지부진하기만 하다.

정부와 전북도 등이 지난해 한국GM군산공장 활용방안 마련을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등을 접촉했으나 별 다른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폐쇄된 군산공장은 연간 승용차 생산 능력 27만대 규모를 갖춘 곳이었다.

한국지엠 군산공장은 국내 완성차 공장 중에서도 가장 최근에 지어져 첨단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차체·프레스, 도장, 조립, 디젤엔진, 반조립 부품(KD) 등 7개 주요 공장과 주행시험장, 출고장, 5만톤급 수출전용 선박의 접안이 가능한 부두가 함께 속해 있다.

일각에서는 대기업과 해외 자동차 브랜드 인수설이 나돌고는 있으나 윤곽을 드러낸적은 현재까지 없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 카허 카젬 한국지엠 사장은 지난해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참석해 “군산공장 재활용, 재개발, 이전 등에 관심·의향을 보이는 당사자들과 논의 중”이라며 “협상 결과 도출까지는 시일이 다소 걸릴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한국지엠 군산공장이 폐쇄된 이후 이렇다 할 대책이 나오지 않자 무급 휴직 처리된 480여명의 직원들에 대한 생계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전북도는 고용노동부 전주지청,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 등과 함께 ‘고용분야 경제상황점검회의’를 연 데 이어 군산의 조선·자동차 업계 퇴직 및 실직자들을 대상으로 일자리 센터를 설치, 지원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올 상반기 안에는 군산공장 재활용 방안이 나와야 하지 않겠냐는 여론이 지역 내에서 들끓고 있다.

도 관계자는 “GM도 전향적으로 나서지 않는 상황이고 자동차 등 제조업도 불경기라 선뜻 투자하겠다고 나서는 기업이 없다”며 “그러나 올해 안에는 어떻게든 재가동 문제를 풀기 위해 설득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