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2년새 2만명 급감해
지난해 183만 6천명 그쳐
청년유출 등 감소폭 빨라
180만 붕괴위협 대책절실

최근 2년 사이 전북지역 인구 감소 폭이 2만 명이나 돼, 저출산과 인구유출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10년 이후 감소폭이 최대로 커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구 감소 속도를 조절한 유인책 마련이 요구된다.

6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주민등록 인구통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17년 말 전북 인구는 185만4천명으로 지난해 183만 6천명에서 1만 8천명이나 줄었다.

이 기간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와 한국 GM 군산공장 등이 문을 닫는 등 급격한 경제변화가 지역 내에서 일어났던 시기로 분석되고 있다.

또한 최근 10년 동안 인구감소가 가장 심했던 지난 2017년 1만 184명 감소했을 때와 비교해도 1.5배 이상 늘어난 규모로, 180만선 붕괴 위협까지 받고 있다.

실제로 전북인구는 그 동안 2010년 186만8천900여 명에서 2011년 187만 4천31명, 2012년 187만 3천341명, 2013년 187만 2천965명, 2014년 187만 1천560명, 2015년 186만 9천711명 등 인구 감소 규모가 1~2천명 선에서 그쳤다.

그러나 2016년부터는 인구가 2배 가까이 줄기 시작했고, 2017년은 1만 명이 줄어 185만명 대를 기록하는 등 전북 인구 감소에 점점 더 속도가 붙고 있다.

이같은 상황이 계속되면 인구감소의 마지노선이라 불리는 180만 인구까지 위협을 받게 된 것이다.

시.군별로는 전주와 장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인구가 줄었다.

특히 익산은 지난해 6.13 지방선거 때까지 30만 명을 유지했으나 이후 6천명이 넘는 인구가 감소했고, 고창이 3천431명, 군산이 2천352명 줄었다.

 인구 감소의 주요원인으로는 저출산과 청년인구 타도시 유출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결혼과 육아에 대한 부담증가와 직업에 대한 불안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지역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이다.

도는 그 동안 인구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구정책 전담 조직 신설을 비롯해 출산장려, 인구유입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내놓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정책이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면서 보여주기식 정책은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특히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전북이 가장 높은 인구 감소폭을 보인 만큼 인구증가 정책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해야 할 시기하는 지적도 제기돼 전북도 향후 행보가 주목된다.

/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