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지역이전, 지역인재 채용, 지역육성 정책 등은 결국 지역의 자원을 지역 내에 선순환 시켜 지역의 발전을 이끌어 보고자 함이다.

이를 통해 인구의 순유출을 막고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자는 것인데, 늘 그렇듯 성과는 더디기만 하다.

여러 노력들을 비웃기라도 하듯 인구유출은 여전히 난제로 남는 듯 보인다.

본보는 “과속 인구감소 ‘브레이크’ 필요”라는 제목으로 날로 심각해져 가는 인구 유출 문제를 종합면 톱기사로 다뤘다.

최근 2년 사이 전북지역 인구 감소폭이 2만 명이나 돼, 저출산과 인구유출 문제가 날로 심각해졌다는 것인데, 단순한 유출이 아니라는 점에 있다.

지난 2010년 이후 감소폭이 최대로 커졌다는 것이다.

이는 행정안전부가 최근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분석한 결과에서 드러났다.

지난 2017년 말 전북 인구는 185만4천명으로 지난해 183만6천명에서 1만8천명이나 줄었다.

이 기간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와 한국 GM 군산공장 등이 문을 닫는 등 급격한 경제변화가 지역 내에서 일어났던 시기다.

최근 10년 동안 인구감소가 가장 심했던 지난 2017년 1만184명 감소했을 때와 비교해도 1.

5배 이상 늘어난 규모로, 180만선 붕괴 위협까지 받고 있다.

실제 전북인구는 그 동안 2010년 186만8천900여 명에서 2011년 187만 4천31명, 2012년 187만3천341명, 2013년 187만2천965명, 2014년 187만1천560명, 2015년 186만9천711명 등 인구 감소 규모가 1~2천명 선에서 그쳤다.

그러나 2016년부터는 인구가 2배 가까이 줄기 시작했고, 2017년은 1만 명이 줄어 185만 명대를 기록하는 등 전북 인구 감소에 점점 더 속도가 붙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상황이 계속되면 인구감소의 마지노선이라 불리는 180만 인구까지 위협을 받게 될 것이란 전망이다.

시·군별로는 전주와 장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인구가 줄었다.

인구 감소의 주요원인으로는 저출산과 청년인구 타 도시 유출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되고 있다.

결혼과 육아에 대한 부담증가와 직업에 대한 불안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지역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인구의 마지노선인 180만 붕괴를 코앞에 두고 있다.

인구증가 정책에 대한 대대적인 대책들이 나오지 않는다면 상당부분의 지역발전 정책들이 무위로 돌아갈 우려도 있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