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를 소개하는 안내판에는 왜 그리도 한자와 전문용어가 많은 것일까? 마치 어떤 이의 유식을 자랑이라도 해놓은 것처럼 이해하기 쉽지가 않다.

안내판은 말 그대로 안내를 위한 것일 텐데 안내는 고사하고 안내판을 해석하고, 분석하기 위해 학자의 도움을 받아야할 판이다.

안내판도 제대로 해석이 안 되는 데 문화재는 뒷전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어느 안내판은 난해하기 이를 데 없어 마치 안내판을 읽는 대상들을 마치 한학자들로 생각한 것인지 과도한 한자가 사용되어 있기도 하다.

그런가 하면 또 다른 안내판은 마치 대학교수 이상의 학식을 갖추거나 특정 분야의 전문직 연구원의 학식 이상의 소유의 수준을 가진 사람을 그 대상으로 한 듯 내용이 난해하기 이를 데 없다.

과연 자치단체에서는 이런 안내문을 어떤 검수과정을 거쳐 그곳에 세워 놓은 것인지 의아스러울 때가 한 두 번이 아니다.

다행히도 이런 난해하기 짝이 없는 문화재 안내판이 뒤늦게나마 알기 쉽게 바뀐다고 하니 얼마나 다행스러운지 모른다.

문화재 안내판 정비사업은 지난해 5월 문재인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청와대 경내에 있는 ‘침류각’ 안내판이 글도 어렵고, 알고 싶은 내용도 담기지 않았다고 지적하면서 시작됐다.

한자도 많고, 친절하지도 않았던 문화재 안내판은 문 대통령의 지적 이전부터 끊임없이 원성을 들어왔다.

전문용어가 많은데다가 외국인이 많이 찾고 있는 현재 상황에 걸 맞는 수준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이에 도는 5억4천만원을 투입해 전문적이고 어려운 용어로 구성된 140건의 안내판을 ‘쉬우면서도 국민이 알고 싶은 정보’ 중심으로 개선하기로 했단다.

또 마모, 방습 불량 등으로 내구성이 떨어져 가독이 어려웠던 안내판에 대한 교체도 함께 진행키로 했다.

도는 오는 3월부터 문화재 안내판 자문단을 구성하고 4월까지 운영하며 이후 안내문안 작성과 감수 기간을 거쳐 7월부터 10월까지 안내판 정비사업 착수와 시행에 돌입한다.

11월 사업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문화재 전자행정시스템 DB입력 등으로 마무리 지을 예정이다.

바뀐 문화재 안내판은 전문용어 대신 쉬운 용어와 문장을 사용하게 되며, 해당 문화재가 왜 만들어졌고 어떻게 활용되는지 등이 설명된다.

안내판에 대한 지적은 대통령이 지적 이전부터 수 없이 있어왔는 데 왜 꼭 대통령의 지적이 있은 후에야 행동으로 실천되는 것일까? 이 부분 역시 시정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