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지역구가 사라지는 선거구 축소를 골자로 한 ‘선거제도 개편안’을 과연 어떤 국회의원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이런 선거제도 개편안을 높고 여야는 물론 정치권의 많은 이들이 손익계산을 따지고 있다.

이런 지역구 축소 주장이 이어지면서 전북 정치권도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여야가 선거제도 개편에 어떻게 합의할 지는 현재 불투명하다.

그러나 일단 지역구 축소에는 어느 정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분위기.

그럴 경우 전북은 현재의 10개 선거구에서 7개 또는 9개로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더불어민주당은 현재 국회의석 300석 중 지역구 253석을 200석으로 줄이는 안을 제시했다.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 등 야 3당은 지역구 220석과 비례 110석 등 330석을 기준으로 선거제도를 변경하자는 안이다.

한국당은 명확한 당론을 아직 내놓지 않고 있다.

여야 5당 중 한국당을 제외한 4당이 지역구 축소에는 입장을 같이 하고 있다.

만일 지역구가 축소된다면 전북은 타격이 불가피하다.

영남권, 광주·전남권, 충청에 비해 도내 인구수가 적은 데다 상당수 지역이 농촌이라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전주, 군산, 익산 정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농촌 지역의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완주+진안+무주+장수나 남원+임실+순창 등이 개편에 의해 통폐합되거나 확장돼 국회의원은 ‘대표성’을 인정받기 힘들다.

때문에 도내 정치권은 축소 논의 과정에서 전북 상황을 감안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실제 안호영 도당위원장은 만약 개편되더라도 전북의 특성과 환경이 잘 감안되어야 한다며 지역구 축소로 이어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 강조했다.

반면, 정동영 평화당 대표는 자기 지역구가 없어지는 데 가만히 있을 국회의원이 어디 있겠느냐며 민주당의 지역구 축소안이 실현 가능성 없는 면피용안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역구를 53석이나 축소하는 건, 여야 당내 상황을 감안할 때 거의 불가능이라는 시각이 정가에 많다.

따라서 문제는 지역구 축소 주장과는 별개로 과연 선거제도 합의안이 나올 것이냐에 모아진다.

그렇다면 결국 지역구를 축소해야 하는데, 한국당의 주 지지층인 영남권의 반발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다 한국당이 국회 일정까지 거부하고 있어 여야의 선거제도 개편 논의는 당초 합의했던 ‘1월내 합의’는 물 건너갈 것으로 예상된다.

자신의 지역구가 없애려 하는 현행 선거제도를 과연 어떤 국회의원이 납득하고 받아들일지, 마치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기고 있는 것은 아닌지 싶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