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능인력 20대이하 5.7%
3년간 3.7→4.2→4.4% 증가세
취업난에 청년층 유입 늘어
적절임금-기능인등급 필요

전주 효자동의 A건설사에는 10여명 남짓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이 건설사 현장소장을 비롯한 건설기능직 인력의 대부분은 20대에서 30~40대까지 비교적 젊은층으로 구성돼 있다.

50대 젊은 사장과 경리·공무 업무를 겸하고 있는 20대 내부 직원은 물론 일부 현장소장까지 젊은층으로 구성하면서 건설사에 활력이 돋고 있다.

  규모가 그렇게 크지 않다보니 많은 수의 직원을 고용하지는 않았지만 향후 회사 확장을 통해 젊은층 위주로 고용을 늘려갈 예정이다.

취업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이 고령화된 건설현장을 노크하고 있다.

건설현장의 고령화와 청년 일자리 구하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젊은층 건설기능직을 유입시키기 위해서는 적정임금제와 기능인등급제와 같은 제도 도입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보인다.

13일 건설기능인력 관련 최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건설기능인력 가운데 20대 이하 비중은 5.7%로 지난 2009년 6%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 2015년 3.7%을 기록했던 20대 이하 비중은 2016년 4.2%로 높아졌으며 2017년에는 4.4%로 늘어났다.

이처럼 최근 3년 사이에 고령화된 건설현장에 20대 이하 비중이 높아진 것이다.

건설현장에 20대 기능인력이 늘어나면서 건설현장의 고령화도 조금씩 해소되는 분위기다.

20대 이하 인력 비중뿐만 아니라 20대 건설기능인력 수 자체도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20대 건설기능인력 수는 지난 2015년과 비교하면 2배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건설현장의 젊은층 유입은 고령화된 건설기능인력의 대가 끊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불식시키는데도 한 몫하고 있다.

이처럼 건설현장에 청년층의 유입이 늘어나는 이유는 극심한 취업난을 겪고 있는 청년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하지만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청년층의 수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며 다른 산업과 비교하더라도 건설기능인력의 고령화 수준을 따라잡기에는 아직까지 미미한 수준이다.

건설현장에 청년층의 유입이 지속될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을 내놓기도 이르다.

건설기능인력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여전하고 그다지 안정적인 일자리로 인정받기도 어려운 현실 때문이다.

이에 대한 해법으로 적정임금제와 기능인등급제 등의 제도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적정임금제는 건설공사 근로자의 임금이 하도급을 거치면서 삭감되지 않도록 발주자가 정한 금액 이상으로 임금을 보장하는 제도를 말한다.

건설기능인력제는 기능인력의 자격이나 경력, 교육훈련, 포상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등급을 구분해 기능인력의 경력과 숙련도에 대한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도다.

건설기능인력이 수주 산업의 특성상 일용직 위주라든가 현장과 현장 사이의 잦은 이동, 동절기 일감부족 등으로 빚어질 수 있는 고용 불안정성이 높다는 점에서 건설기능인등급제 도입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 건설현장에 20대 건설기능인력들이 늘어나고 있다.

더 많은 젊은층을 유입하기 위해서는 적정공사비 확보와 적정임금제 도입이 선결 과제”라고 말했다.

/이신우기자 lsw@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