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선거제 개편안이 돌출되면서 전북 지역 정가는 혼돈에 휩싸여 있다.

자유한국당을 뺀 여야 4당(더불어민주당·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정의당)이 합의한 선거제도 개편안에 따르면 전북 지역구 감소는 불가피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여야 4당은 ‘지역구 225석·권역별 비례 75석 고정·연동률 50% 적용’을 핵심으로 한 선거제 개혁 합의안을 도출했다.

전북의 경우 국회의원 지역구를 225명으로 줄이면 익산 갑, 을 선거구의 통합과 남원·순창·임실, 그리고 김제·부안 선거구가 국회의원 인구 하한선에 미달돼 사라지게 된다.

이 경우 지역구 축소로 인해 같은 당 소속 현역 의원들의 싸움도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제·부안 선거구는 현 정읍·고창 선거구와 맞붙게 되고, 남원·순창·임실 선거구는 완주·무주·진안·장수 선거구와 합쳐 통·폐합 절차를 거칠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익산은 갑을 지역구로 나뉘었던 만큼 하나의 지역구로 합쳐질 수 있다.

익산의 인구는 지난 2월말 기준 29만 2천 여명이었다.

전체 지역구 의석 수가 축소되면 익산은 인구 상하한선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현재의 갑을 선거구가 하나로 통폐합된다는 뜻이다.

실제로 도내 정가에선 전주권과 함께 익산권이 최대 격전지가 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익산갑은 민주당 이춘석 의원, 익산을은 민주평화당 조배숙 의원이 현역이다.

이들에 맞서 한병도 전 청와대 정무수석, 전정희 전 국회의원, 김수흥 국회 사무차장 등이 자천타천 후보로 꼽힌다.

이 중 한 전 수석은 익산갑과 을 중 어느 지역을 선택할 지 고심 중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익산갑.을이 통폐합되면 지역구를 나누는 게 의미가 없어진다.

한 선거구에서 현역 2명과 전직 의원, 신진 입지자가 공천과 본선에서 격돌할 것이기 때문이다.

익산은 갑, 을 선거구 구분 없이 하나의 선거전으로 치러질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 정읍·고창은 유성엽 의원과 김제·부안 김종회 의원도 같은 평화당 현역의원 간에 공천 경쟁이 예상된다.

선거구 획정 결과에 따라 당내 경선부터 치러야 하는 상황을  배제할 수 없다.

민주당 안호영 의원(완주·무주·진안·장수)도 선거구 획정 결과에 따라 20대 총선과는 전혀 다른 선거구에서 뛰어야 하는 상황을 맞이해야 할 수도 있다.

완주·무진장 선거구 중 일부 지역이 남원·순창·임실 선거구로 편입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내년 총선 출마를 염두하고 있는 정치신인들과 자신의 지역을 지키려는 원내외 위원장들의 치열한 기선잡기 싸움이 펼쳐지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선거제 개혁안인 국회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안이 내년 총선에 적용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바른미래당과 평화당 내부에서 선거제 개혁안을 두고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다 한국당에서도 전면 투쟁을 선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선거제 개혁안은 현 253석의 지역구를 225석으로 줄이는 것을 담보로 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각 정당이 정당득표율만큼 지역구에서 의석수를 확보하지 못했을 경우 이를 절반만 비례대표로 보전해준다.

각 정당은 전국 17개 시·도를 6개 권역으로 나눈 후 각 권역별 득표 비율에 따라 비례대표를 배분, 비례대표 후보 명부를 작성해야 한다.

다시말해 인구가 적은 농촌지역의 국회의원 대표성은 사라지고 지금처럼 전국단위가 아닌 권역별로 작성되는 비례대표 명부는 지역정당의 탄생을 부추기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인구가 적은 전북의 경우 후 순위로 밀릴 가능성이 다분하다.

이같은 이유로 한국당은 물론 평화당 내에서도 전북의원들을 중심으로 반발이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찬반 논란이 일고 있는 선거제 '패스트트랙' 협상이 어떤식으로 결론을 이끌어 낼 지 이목이 쏠려 있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